한나라 ‘崔대표개혁안’집안싸움…소장-중진의원 의견엇갈려

  • 입력 2003년 11월 5일 18시 48분


정치개혁 방향을 놓고 한나라당이 내홍(內訌)에 빠져들고 있다.

최병렬(崔秉烈) 대표가 3일 전격 제안한 5대 정치개혁 방안이 불씨가 됐다.

최 대표의 발표 이후 당 지도부는 시도지부 후원회 취소 등 발 빠르게 후속 조치에 착수했고 당내 소장파 의원들은 최 대표 발언 지지를 선언하는 등 ‘바람몰이’에 나섰다.

소장파 모임인 미래연대와 쇄신모임은 4일 오후 합동워크숍을 갖고 최 대표가 제안한 지구당 폐지 등 정치개혁 5대 방안에 대한 지지를 결의했다. 이들은 다음 주 중 10명 안팎의 원내외위원장이 추가로 지구당위원장 사퇴를 결행해 ‘압박전략’을 구사한다는 복안이다.

미래연대 간사격인 남경필(南景弼) 의원은 “최 대표가 제안한 정치개혁 방향에 대해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며 “정치개혁 및 당 개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중진들은 최 대표의 강공 드라이브에 깔린 ‘저의(底意)’에 주목하고 있다. 명분을 앞세워 공천 물갈이를 통한 당 장악의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는 것이다.

영남권의 한 중진 의원은 “지구당 폐지와 전국구 전원 교체 방침은 사실상 중진 물갈이의 신호탄”이라며 “인위적 물갈이는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고 반발했다.

서청원(徐淸源) 전 대표와 가까운 김용학(金龍學) 의원은 이에 앞서 최근 ‘한나라당의 죽음을 준비합시다’란 제목의 공개편지를 전 지구당위원장들에게 보내 당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김 의원은 “정당의 목적은 정권을 잡아서 정강정책을 펴는 것인 데도 선거 때 가장 중요한 지구당을 폐지하는 것은 정당인으로서 기본을 망각하는 것”이라며 “요즘 당론 결정 과정을 보면 당이 아예 없는 것 같다”고 비난했다.

선거구제 문제는 당 지도부간 신경전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이재오(李在五)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들에게 “당론은 소선구제이며 재론 가능성도 없다”며 중대선거구제를 공론화한 홍사덕(洪思德) 원내총무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특검법과 중대선거구제의 ‘빅딜설’에 대해서도 “전혀 별개의 문제”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홍 총무는 “당내에 중대선거구제에 대한 지지 의견도 있기 때문에 당론을 정하기 위해선 논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당내 다수 영남권 의원들은 소선거구제를, 수도권 일부 소장파와 다른 지역 중진들은 중 대선거구제를 각각 선호하고 있어 선거구제를 둘러싼 갈등의 불씨는 꺼지지 않을 전망이다.

정연욱기자 jyw11@donga.com

정치개혁 쟁점에 대한 한나라당 소장-중진의원 입장
구분소장파 중진
지구당지구당 폐지해야(일부 소장파 의원들 이미 지구당 위원장직 사퇴)총선전 지구당 폐지는 무장해제나 다름없다(특히 원외 지구당위원장들이 강력 반발)
후원회완전선거공영제 실시 전제로 개인후원회 폐지개인 후원회 폐지는 시기상조
선거구제수도권 소장파 일부와 일부 중진-중대선거구제 선호영남권 출신 의원-현행 소선거구제 고수
인적 쇄신과감한 물갈이를 위해 공천심사위원회 기능 강화 현 상향식 공천제 찬성, 인위적 물갈이 반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