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는 5일 “집권 초기의 아마추어 국정 논란과 386세대 ‘코드인사’에서 빚어진 폐단을 막기 위해 관료 등 외부전문가를 적극 발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노 대통령이 행정 경험이 풍부한 관료 출신들을 중용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2월 출범 당시 관료 출신을 중용할 경우 보수적인 관료사회의 입김 때문에 새 정부의 국정 운영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핵심참모들의 주장에 따라 관료출신 비서관은 39명(수석비서관 제외) 중 허준영(許准榮) 치안비서관과 권선택(權善宅) 인사비서관 2명만 발탁했다.
노 대통령의 한 386핵심참모는 “대통령 주변에서 관료출신을 배척하지 말고 경륜과 능력을 겸비한 인사들을 핵심 포스트에 배치해야 한다는 건의가 이어지고 있다”면서 “대통령도 이런 주장에 공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386참모들은 중심축이었던 이광재(李光宰) 전 대통령국정상황실장의 퇴진으로 결집력이 약화되면서 상대적으로 후선으로 밀려날 것이 예상된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문희상(文喜相) 대통령비서실장 후임으로 열린우리당의 C, L의원 등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국민참여수석실과 홍보수석실의 대수술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면 정책수석실의 경우 노 대통령의 국정 과제를 강도 높게 추진하기 위해 조직 보강을 검토 중이다. 일부에서는 정책실의 부처현안 조율을 위해 지난 정부처럼 부처를 맡는 수석제도를 부활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한편 청와대의 고위관계자는 내각 개편과 관련해 “노 대통령은 단순 보각(補閣) 차원이 아니라 전면 개각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8개월간 업무성과를 평가해 문제점이 드러난 인사들은 대부분 경질하고 총선출마 인사들도 정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최영해기자 yhchoi65@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