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의원 "총선불출마" 회견문

  • 입력 2004년 1월 6일 11시 59분


저는 17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서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새로운 한 세기를 여는 길목에서 치러진 2000년 총선은 우리 정치의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그 동안의 '그들만의 낡은 정치'를 버리고, '국민과 함께 하는 우리의 정치'로 거듭나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졌던 것입니다.

저는 그러한 과제를 실현하고 싶다는 열망으로 현실정치에 발을 디뎠고, 한나라당을 통해서 우리 정치의 누적된 잘못을 고쳐보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부분적이나마 국회운영의 합리화와 제왕적 총재제 폐지라는 작은 결실을 만들어 내는데 일조했음에 위안을 느낍니다.

그러나 그 보다 더 많은 좌절과 실패가 있었습니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힘겨운 갈등에 가슴 아파했고, 이것은 정치개혁과 깨끗한 정치의 실현을 위해 참여한 제게 참으로 견디기 힘든 자기모순이었으며 커다란 고통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정치개혁의 실현을 목표로 삼았던 시대에 오히려 '개혁의 상실'을 경험했으며, 그 현실에 대해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자괴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지난 4년을 돌이켜 보면 참으로 부끄럽습니다. 먼저 정치 현실에 정통하지 못하면서 정치를 바꿔보겠다고 덤벼든 무모함이 부끄럽고, 잘못된 길을 가는 모습을 보고도 아직은 때가 아니라며 묵인한 무력함이 부끄럽고, 묵인을 넘어서서 어느 사이 동화되어간 무감각함이 부끄럽고, 미숙한 자기 확신을 진리인 양 착각한 무지함이 부끄럽고, 세계관이 다르다는 이유로 내심 무시하고 배척한 편협함이 부끄러우며, 그리고 이렇게 부끄러운 자신의 입으로 역사에 공과가 있음을 애써 무시하고 선배들께 감히 용퇴를 요구한 그 용감함이 참으로 부끄럽습니다.

흔들리는 나라를 살리려면 정치를 바로 세워야 하고, 정치를 바꾸려면 다수당인 한나라당이 바뀌어야 하고, 한나라당을 바꾸려면 사람을 바꾸어야 한다는 조급증 때문이었음을 이해하여 주십시오. 누구를 탓하기에 앞서 제 자신이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며, 조그마한 기득권이라도 이를 버리는 데에서 정치개혁이 시작된다고 주장했던 대로 이제 실행하려 합니다. 그러한 고민의 산물이 지난 번 지구당위원장직 사퇴에 이은 이번 불출마이며, 이것이 정치권의 새로운 변화를 바라는 국민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습니다.

지금 한나라당은 공천과 관련한 내홍을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한나라당이 국민의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할 불가피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나라당에 대하여 거부감을 가지는 국민들이 연상하는 음습했던 과거는 이제 떠나보내야 합니다. 그것이 미래의 희망을 담아낼 수 있는 당으로 재탄생하는 길이라 믿으며, 이번 저의 불출마가 그러한 미래지향적인 정당을 만드는 조그마한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나아가 정치권 전반에 '내 탓이오' 정서가 만들어지는 시발점이 되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국민 여러분의 성원에 감사를 드리고, 아쉬움과 실망을 남기게 된 점에 대해 용서를 구합니다. 그러나 국회만이 국민을 위하는 유일한 장소는 아닙니다. 어디에서든 정치개혁의 완성을 위하여 미력이나마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하며, 아울러 성숙한 정치 문화를 만드는 데에도 노력할 것입니다. 그동안 지켜봐 주신 국민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