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의 한 관계자는 6일 기자와 만나 “박 회장은 당시 한나라당 재정위원으로 당원 신분을 갖고 있었다”며 “대선기간 중 박 회장은 두 차례 5억원씩, 총 10억원의 특별 당비를 합법적 절차에 따라 당에 납부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한나라당 재정위원들의 특별 당비 납부명세가 담긴 대외비 보고서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2000년부터 지난해 8월까지 한나라당 재정위원으로 활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정위원은 당비를 합법적으로 낼 수 있으며 당규엔 ‘재정위원은 한달 10만원 이상의 당비 납부 의무가 있다’고 돼 있다.
그러나 박 회장이 낸 ‘특별 당비’의 경우는 별도의 한도액이 정해져 있지 않아 정치권 주변에서는 특별 당비가 음성적 정치자금의 통로라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이와 관련해 당의 또 다른 관계자는 “기업 규모에 비해 박 회장의 특별 당비 납부액은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며 “중소기업 수준의 다른 재정위원들이 낸 특별 당비는 대개 몇천만원 수준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경남 김해의 신발 생산업체인 태광실업 소유주인 박 회장은 지난해 대선 당시 한나라당은 물론 노무현 캠프와도 밀접한 인연을 맺어왔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 평가다.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박 회장의 셋째딸이 청와대 국정상황실 직원(8급)으로 채용되고 2003년 4월엔 노 대통령의 친형 건평(健平)씨의 경남 거제시 구조라리 땅을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 노 대통령과 박 회장의 ‘각별한 인연’이 화제가 됐다.
정연욱기자 jyw11@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