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의 맞불작전=한나라당과 민주당은 6일 "특정 정당을 유리하게 하기 위한 엉터리 선정"라며 열린우리당 소속 의원 중 낙천 낙선 대상 리스트를 각각 내놓는 등 등 맞불을 놓았다.
한나라당은 37명의 명단과 '혐의(?)'를 작성했다. 일각에서 "동료 의원들끼리 그런 식으로 하는 것은 모양이 좋지 않다"며 반대, 공식 발표는 보류했으나 기자들이 요구하면 명단을 주는 방식으로 사실상 공개했다.
한나라당은 이 자료에서 열린우리당 정동영(鄭東泳) 의장과 김근태(金槿泰) 원내대표의 경우 권노갑(權魯甲)씨로부터 경선자금을 받았으며, 천정배(千正培) 의원은 국회법 개정안 날치기 통과 및 '기양건설 허위 폭로극'을 주도했으므로 낙천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김원기(金元基) 최고상임고문과 김원웅(金元雄) 의원도 여러차례 당적을 바꿨으므로 낙천 대상이 된다는 것.
민주당도 "총선시민연대가 밝힌 기준에 따르면 반드시 낙천대상에 포함돼야 했는데도 빠졌다"며 20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유시민(柳時敏) 의원은 선거법 위반으로 50만원의 실형을 선고받았는데도 낙천 대상자 명단에서 빠진 것은 비슷한 이유로 낙천 대상자에 포함된 다른 의원과의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것.
또 임기가 2년반이나 남았는데도 의원직을 버리고 국민신당에 참여했다가 국민신당과 국민회의 합당으로 당적이 바뀐 이만섭(李萬燮) 전 국회의장을 낙천 대상으로 낙인을 찍으면서 지난 대선 때 이회창(李會昌) 후보를 공개 지지하는 연설까지 해놓고 대선 패배 후 탈당해 열린우리당에 합류한 이부영(李富榮) 상임중앙위원을 제외한 것은 '넌센스'라고 민주당은 지적했다.
▽각 당 공천 작업에 반영될까=야권은 이처럼 총선시민연대의 발표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참고'만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2000년 총선 때는 총선시민연대의 1·2차 공천반대자 102명 중 44명(43.1%)이 낙천된 바 있다.
그러나 편파 시비 논란에도 불구하고 총선시민연대의 발표가 일부 타당하다는 주장도 적지 않아 공천 과정에서 어떻게 걸러질지 관심이다.
특히 대선 직전 한나라당 행을 택한 P, L 의원 등의 경우 당내에서도 공천에서 탈락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국민의 여론을 살펴 수용할 부분은 수용하되 공천시스템에 따라 공천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총선시민연대가 발표한 낙천대상자 중 16명은 2000년에도 낙천대상자에 포함됐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은 한결같이 "이미 2000년 총선 때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았는데 이를 다시 문제 삼는 것은 유권자의 선택을 부인하겠다는 것이나 마찬가지다"고 흥분하고 있다.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