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수석은 이날 매일경제TV와의 인터뷰에서 “총선 후 개각은 국회 요구에 발을 맞춰야 할 것이다”면서 “국회도 정부입장을 존중해줘야 할 것이고, 또 정부도 국회입장을 존중해야 한다. 그렇게 하다보면 개각 사유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수석은 또 재정경제부 출신의 금융기관 등 산하 단체장 낙하산 인사와 관련해 “어느 한 부처가 한 분야를 독식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 “어느 한 집단이 어딜 다 점령하면 소위 순혈주의 폐해가 나온다. 좀 섞어서 ‘잡종 강세’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청와대의 금융계 인사개입 논란에 대해 “국내 금융기관에 12조70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정부 돈, 국민의 세금이 들어갔다”며 “청와대가 ‘모른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청와대는 그런 걱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병준(金秉準)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4·15총선 후 정부 조직개편이 대규모로 있을 수 있다”며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의 통합은) 신설되는 과학기술 부총리가 조정하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해기자 yhchoi65@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