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신임 차관은 김 전 대통령의 각별한 신임을 받았던 최측근이자 지난해 2월 퇴직한 뒤에도 김 전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해왔기 때문에 여러 추측을 낳고 있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서로 “DJ는 우리 편”이라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예민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박 차관의 경우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여성 비례대표로 ‘모셔가기’ 위해 애를 썼으나 박 차관의 거절로 성사되지 못했다.
그런 전후 사정 때문에 박 차관의 정부 입성은 노 대통령의 ‘DJ를 향한 구애’에 화답이 온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박 차관은 청와대측으로부터 차관직 제의를 받았을 때만 해도 고사하는 쪽이었으나 며칠 전에야 수락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측이 임명 발표를 1주일 이상 미룬 것도 박 차관에게서 확답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박 차관은 청와대측의 제의가 있은 직후 DJ에게 찾아가 보고했고 DJ는 “스스로 알아서 판단하라”며 의중을 밝히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그는 26일 오후 청와대의 발표 직후 전화통화에서 ‘DJ와 사전에 상의했느냐’는 물음에 “내가 말하기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문을 닫았다.
한편 환경부 안팎에서는 지난 주말 박 차관 영입설이 나오면서부터 “환경부가 힘없는 부처이다 보니 이번에도 정치적 이유 때문에 차관에 비전문가를 내려 보내는 것 아니냐”며 주변에 “전직 관료와 환경전문가군 중에서 적합한 인사가 선정되도록 해달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김정훈기자 jnghn@donga.com
![]() | ![]() ![]()
|
| |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