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이 33일 앞으로 다가온 4·15총선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관측이 엇갈린다.
야당은 현 정권의 힘과 지지도가 급격히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본 반면 열린우리당은 ‘역풍’이 거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탄핵안 발의를 주도했던 민주당은 일단 전통적 지지층인 호남표와 중도개혁 성향표가 노 대통령에 대한 기대를 접고 민주당을 구심 삼아 새 질서와 대안 모색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낙연(李洛淵) 기조위원장은 “노 대통령의 불안한 국정수행능력과 측근비리 등이 부각되고 정권의 신뢰도가 떨어져 노 대통령을 찍었던 90% 이상의 호남유권자와 막연한 기대를 가졌던 젊은층의 지지가 이완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민주당은 또 탄핵으로 정권의 힘이 약화되면서 공무원 사회와 민간 부분에 대한 권력의 장악력이 떨어지고 ‘검찰환경’과 ‘언론환경’도 개선돼 유리한 조건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탄핵 관철을 계기로 영남표는 물론 광범위한 ‘반노-비노(非盧) 성향표’를 묶어세울 반전(反轉)의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보고 있다. 윤여준(尹汝雋) 여의도연구소장은 “한나라당이 대통령 권한대행과 잘 협조하면서 국정안정을 이뤄나가면 유권자들의 인식도 달라질 것이다”고 강조했다. 탄핵이 국법을 무시하는 정권에 대한 3권 분립 차원의 견제라는 점을 주지시켜 나간다면 노 대통령에게 실망하고 분노하는 60% 유권자의 동의를 바탕으로 영남표와 보수표 등 전통적 지지기반을 회복해 1당 유지는 무난하다는 분석이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방황하던 호남표와 다소 이완된 개혁성향표가 탄핵으로 위기를 맞은 노 대통령에게 힘을 몰아주는 ‘역풍’이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민병두(閔丙두) 총선기획단 부단장은 “1979년 12·12군사반란이나 80년 5·17쿠데타는 나중에서야 진상을 알게 됐지만 이번에는 전 상황이 생중계되면서 국민이 사태의 본질을 곧바로 인식하게 됐다”며 “부동층의 상당수는 열린우리당으로 몰릴 것”으로 전망했다. 열린우리당은 특히 2002년 12월 18일 저녁 정몽준(鄭夢準) 후보의 노무현 후보 지지철회로 ‘역풍’이 발생했던 것처럼 탄핵안 가결이 호남민심을 자극해 총선에서 한나라당-열린우리당의 양강구도를 더욱 강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