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와 타협 우선시하는 계기 삼아야=이들은 갈등의 최소화를 위해선 대화와 타협의 능력을 중시하는 풍토가 조성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종찬(李鍾贊) 전 국가정보원장은 “총선 이후까지 죽기살기식 싸움을 확대하지 않으려면 이번 선거에서 건강한 논쟁과 정책대결 능력을 가진 사람을 선택하고 구호만 외치고 팔만 치켜드는 사람은 솎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사회 의사는 평화적으로 수렴돼야=이번 탄핵사태를 계기로 국회 의사와 시민사회 의사가 충돌할 수 있다는 점과 이를 사회적 공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풍토가 정착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상진(韓相震) 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장은 “탄핵요건에 대한 공론화는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시민사회 의사가 평화적이고 자유롭게 표현되고 침묵하는 다수 의사가 양식 있게 공론화된다면 탄핵논란이 정치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무현 대통령도 거듭나야=구체적이고 생산적인 정책능력이 지배하는 정치풍토 조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정남(金正男) 전 대통령교육문화사회수석비서관은 “노 대통령이 정책 인사 포용력 등에서 갈등을 증폭시키는 대통령이 아니라 화해의 사제로 새롭게 태어나고, 여야 정당도 선동정치에서 탈피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반대자 포용은 대통령의 의무=대통령이 어느 한쪽 편에 서지 말고 통합의 중심에 설 때 갈등의 조정 통합이라는 정치의 본래기능이 정상화될 것이라는 주문도 많았다.
이원종(李源宗) 전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은 “대통령이 정치적 반대자를 적으로 간주하면 통합의 정치로 갈 수 없다”며 “대통령이 경쟁 정당이나 인사도 자신이 책임져야 할 대한민국 국민임을 인정할 때 비로소 문제가 풀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문제를 논리적 이성적으로 해결하려 하지 않고 기자회견을 통해 감정적으로 불을 지른다든가 대통령이 자신의 법 위반 사실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면 국민에게는 어떻게 법을 지키라고 말할 수 있느냐”고 주장했다.
▽중도세력이 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감정적 대응이 아닌 차분한 대화만이 문제해결을 가능케 할 것이라는 주문도 많았다.
이각범(李珏範) 전 대통령정책기획수석비서관은 “탄핵정국이 한국 경제에 치명타를 가져올 것이라는 국내 일부의 경제전망과 달리 외국 투자자들은 오히려 차분히 바라보고 있다”며 “‘탄핵=혼란’이라는 흑백논리로 몰고 가려는 시각 자체가 혼란을 조성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양 극단이 아니라 강력한 중도세력이 형성되어 계급, 세대, 지역별로 나뉜 갈등을 치유해 나갈 때 나라의 미래가 있다”고 말했다.
▽언론은 균형을 유지해야=선거를 위해 탄핵 문제를 국민 동원 도구로 삼으려는 정당들의 행태를 언론이 비판 없이 무차별 보도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도 적지 않았다. 김종인(金鍾仁) 전 대통령경제수석비서관은 “이럴 때일수록 언론이 냉정하게 문제를 판단해서 보도해야지, 마치 특정 정당의 선전대로 전락한 듯한 인상을 주어서는 안 된다”며 “한쪽을 과장되게 보도한다든지 어느 한쪽에 치우쳐서는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