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핵심 장관 교체 없다”=청와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열린우리당에서 총선이 끝나자마자 개각 하마평이 무성하지만 대통령이 권한 정지 중인데 개각을 당에서 다 하느냐”면서 “핵심부처 장관에 대한 개각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과 과학기술부 장관, 행정자치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 4개 부처 장관과 대통령정책실장 등 핵심 포스트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총선 후 상황까지 감안해 배치한 것”이라면서 “이런 자리에 정치인 출신이 입각할 가능성은 없다”며 여권 일각의 개각 논란을 일축했다.
이헌재(李憲宰) 경제부총리와 오명(吳明) 과기부 장관은 노 대통령 국정 운용의 ‘큰 그림’에 따라 결정된 것인 만큼 총선 결과와 상관없이 임명된 자리이고 청와대와 정부간의 가교 역할을 하면서 권한이 막대해진 국무조정실장 및 행자부 장관 또한 개각 대상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도 “특정 부처를 거론하면서 입각 얘기가 보도되는 것은 탄핵문제가 매듭지어지지 않은 지금은 적절하지 않고 정부 운영에도 차질이 있을 수 있다”며 진화에 나섰다.
▽정동영-잔류, 김근태-입각할 듯=정 의장과 김 대표의 입각 문제는 결국 돌고 돌아 ‘정 의장=당 잔류, 김 대표=입각’으로 정리되는 분위기다.
지난달 말 노 대통령을 면담한 것으로 알려진 김 대표는 통일부 장관직 제의를 받았으며 입각 쪽으로 방향을 튼 것으로 알려졌다. 한 측근은 “152명의 의원을 가진 과반 여당의 원내대표로 활동하며 원내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는 게 유리하지만 노 대통령과의 관계를 잘 끌고 가야 ‘미래’가 있으므로 대통령의 의중을 무시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전했다.
김 대표는 3일 재야 및 386운동권 출신 의원들과 만나 원내대표 불출마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김 대표는 “대통령 탄핵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최종 판결이 날 때까지 입각 등의 문제는 거론하지 말자”고 말했다.
정 의장은 한때 입각을 염두에 뒀으나 당분간 당의장직을 계속 수행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측도 당초 입각 여부에 대한 ‘선택권’을 정 의장에게 줬으나 최근 들어 ‘실용개혁정당’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당을 끌고 갈 수 있는 최선의 카드가 정 의장이라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열린우리당과 부처 일각에서는 총리에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김혁규(金爀珪) 당 상임중앙위원의 대안으로 경제관료 출신인 강봉균(康奉均) 의원을 미는 기류도 은근히 감지되고 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현재로선 김 상임중앙위원이 유력하지만 대통령과 같은 부산 경남(PK) 출신인 데다 한나라당이 ‘배신자’라고 반발할 가능성이 커 호남 출신으로 행정 경험이 풍부한 강 의원을 추천하자는 의견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최영해기자 yhchoi65@donga.com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