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TV를 통해 선고 과정을 지켜보던 정동영(鄭東泳) 의장 등 열린우리당 지도부는 윤영철(尹永哲) 헌재소장이 기각 결정을 밝히는 순간 일제히 박수를 치며 기뻐했다.
정 의장은 기자실로 올라와 “3·12 의회쿠데타로 국민주권이 유린됐으나 헌재의 결정으로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야3당의 사과를 촉구했다.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는 노 대통령의 입당 문제와 관련해 “더 이상 늦출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헌재가 노 대통령의 선거법 위반 및 헌법수호 의무 위반 등을 조목조목 지적할 때는 긴장감이 감돌기도 했다.
![]() |
당 지도부와 함께 TV를 보던 염동연(廉東淵) 당선자는 좌우에 앉은 김희선(金希宣) 이미경(李美卿) 의원의 손을 꼭 잡고 판결 내용을 듣다가 기각 결정이 내려진 뒤에야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신기남(辛基南) 상임중앙위원은 헌재의 지적에 대해 “적절한 지적이며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애초부터 탄핵 사유에 해당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사과의 수위를 결정하는 데 상당한 진통을 겪었다.
성명서 초안은 당3역과 박세일(朴世逸) 전 공동선대위원장, 이한구(李漢久) 의원 등이 만들었으나 오전 11시부터 2시간 동안 진행된 운영위원회의에서는 “굳이 사과할 필요가 있느냐”는 소수의 강경론과 “처절하게 반성한 뒤 깨끗이 털고 가자”는 온건론까지 다양한 의견이 분출됐다.
한선교(韓善敎) 대변인은 성명서 발표 직후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한 점을 사과했지만 탄핵소추안 의결 절차에 대해 사과를 한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대통령 탄핵은 누구의 잘잘못을 떠나 불행한 일이었고 다시는 이런 불행한 일이 없기를 바란다”면서 “이제 서로 힘을 모아 국민과 민족, 민생을 위해 화합해야 한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박상천(朴相千) 전 대표는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며 “그러나 헌재가 적법절차를 거친 탄핵이었다고 밝혔는데도 열린우리당이 ‘의회쿠데타’ 운운하는 것은 무식의 소치”라고 비판했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정용관기자 yongari@donga.com
이명건기자 gun43@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