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방송위원회가 탄핵방송 심의 과정에서 “정치적 고려에 의한 직무 유기를 했다”며 한결같이 방송위의 ‘무능함’을 질타했다. 그러나 질타의 대상은 달랐다.
열린우리당은 탄핵방송이 편파적이었다고 결론 내린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언론학회에 방송위가 용역을 주고 이 보고서를 공개한 것은 정치적 판단에 따른 것이었음을 집중 부각시켰다.
이광철(李光喆) 의원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에 대해 방송위가 언론학회에 포괄적으로 심의내용 대상을 위임해 불필요한 결론이 나왔다”며 “방송위가 정치적 의도를 갖고 한 게 아니냐”고 따졌다.
정청래(鄭淸來) 의원은 “보고서를 작성한 이민웅 교수는 현 정부에 대해 극도의 악감정을 갖고 있는데 그가 내놓을 결과는 뻔하지 않느냐”면서 “이런 보고서를 공개하는 등 방송위는 직무를 유기해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노 위원장은 “정치적 의도라기보다는 행정을 치밀하게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 교수는 학자로서 학문적 노력에 충실하려고 노력했고, 방송위의 개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방송위가 탄핵방송의 편파성 여부에 대한 포괄 심의를 할 수 없다고 ‘각하’ 결정을 내린 점을 집중 추궁했다.
박형준(朴亨埈) 의원은 “언론학회에 보고 용역을 준 것은 탄핵보도가 심의 대상이 된다고 위원들이 합의했기 때문”이라며 “구체적인 법 규정도 없이 각하 결정을 내린 것은 그 배후에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심재철(沈在哲) 의원이 “방송위가 언론학회에 용역을 의뢰한 것은 (탄핵보도가) 심의 대상이 된다고 판단해서이고, 나중에 보니까 ‘심의 대상이 아니구나’라고 판단한 것 아니냐”고 따져 묻자 노 위원장은 “결과적으로 그렇게 됐다”고 답변했다.
노 위원장은 한나라당 일부 의원이 ‘거취 표명’을 요구한 데 대해 “책임질 일이 있다고 판단되면 책임에서 벗어나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민혁기자 mhpark@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