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은 이날 보도 자료를 통해 “수도 이전 효과와 관련해 정부 주장과 다른 연구 결과가 나왔다”며 “수도 이전으로 경제성장률 하락과 지역간 불균형 심화 등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이 의장은 국토연구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세대 교수진의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했다.
경제성장과 관련해 정부의 신행정수도연구단은 수도건설비로 45조여원을 투입하면 2007∼2030년 누적 국내총생산(GDP)이 현재 기준으로 0.29%포인트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연세대 서승환, 김갑성 교수는 최근 발표한 ‘수도권 인구 분산의 소득 효과’라는 논문에서 “수도권 인구 5%(110만여명)가 비수도권으로 이동할 경우 생산성 차이 등으로 GDP 성장률이 1.8∼2.0%포인트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논문은 또 “향후 잠재적 성장률이 4∼5%대에 머물 경우 성장률의 40∼50%가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국 주요 도시간 통행시간 감소 효과에 대해서도 양측의 결과는 상반됐다. 신행정수도연구단은 수도 이전이 완료되면 주요 도시간 통행시간이 도로를 이용할 경우 16.6%, 철도 이용시 1.4%가 줄어 교통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이달 초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 “수도가 이전될 경우 국가 전체적으로 교통접근성이 악화돼 수도권의 통행시간은 현재에 비해 163%, 전국은 112%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관련해서도 신행정수도연구단은 수도권 인구가 2%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국토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내놓은 결과에서는 인구분산효과는 극히 미미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민혁기자 mhpark@donga.com
수도 이전에 따른 각종 효과 비교 분석 | 정부 주장 |
| 한나라당 주장 |
2007∼2030년 국내총생산 0.29% 증가 | 경제성장 효과 | 수도권 인구 5%(110만명) 감소시 국내총생산 1.8∼2.0% 감소 추정 |
도로 16.6%, 철도는 1.4% 감소 | 주요 도시간통행시간 감소 효과 | 수도권 통행시간 현재보다 163% 증가, 전국적으로 112% 증가 |
수도권 인구 2% 감소 추정 | 수도권 과밀화 해소 효과 |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수도권 인구의 비중이 현재보다 0.6%포인트만 감소 |
폐기물 등 수도권의 환경오염물질 발생량 감소 | 환경개선 효과 | 총량적인 측면에서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은 더 증가 |
전국이 고루 발전 | 지역균형 효과 | 비수도권의 지역불균형 심화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