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2일 발표한 ‘주요 기업의 남북경협 현황과 개선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의 76.1%는 ‘개성공단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 중국에 비해 경쟁력이 높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조사에는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 중 404개가 참여했다.
또 개성공단의 성공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성공할 가능성이 다소 크다’는 응답이 67.6%, ‘아주 크다’는 응답이 9.1%로 전체의 76.7%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개성공단 입주에 관심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별로 없다’(54.1%)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혀 없다’(24.1%)는 대답도 많아 전체의 78.2%의 기업이 부정적이었다.
또 개성공단 입주를 포함해 남북경협 관련 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기업은 11.4%로 지난해 조사 때보다 6.6% 증가했으나 상대적으로 소수였다.
반면 ‘남북경협에 참여할 의사가 없다’는 기업은 37.3%, ‘정해진 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51.3%로 여전히 남북경협은 대기업의 관심권 밖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기업들은 남북경협의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북핵문제 해결 및 남북관계 개선’(68.3%)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북한 내 산업 인프라 확충’(13.2%) ‘남북경협 관련 제도 개선’(11.9%) 등을 지적했다.
또 개성공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기업 활동의 보장’(53.1%)이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 밖에 ‘전력, 철도 연결 등 인프라 확충’(36.8%) ‘적절한 임금 및 자유로운 인력관리’(4.0%) ‘적정한 입주가격’(0.5%)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꼽혔다.
전경련 동북아팀의 권순범(權純範) 과장은 “대기업들은 중소기업과 달리 투자의 규모가 큰 만큼 투자에 따른 위험도 커지기 때문에 북핵문제 등 남북관계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쉽게 투자에 나서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중현기자 sanjuck@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