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의 활동을 계기로, 이념적으로 편향돼 있고 절차적 민주주의도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받아 온 집권 여당의 분위기도 바뀌었으면 한다. 적어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국가보안법 ‘개정’ 의견은 간 데 없고 ‘폐지’가 곧바로 당론이 되는 일은 더 이상 없기 바란다.
“당 소속 의원들 가운데 50%는 실제 만나보면 온건 성향인데 당 전체의 모습은 나머지 (강경한) 50%의 모습으로만 비친다”는 이들의 지적은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왜 온건하고 합리적인 목소리는 들리지 않고 강경 개혁파들의 목소리만 울려 나오는가. 의원 개인의 용기와 소신의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개혁’과 ‘청산’이 또 하나의 독선적 이데올로기가 되어 당을 옥죄고 있기 때문은 아닌지 겸허히 뒤돌아봐야 한다.
지난해 통과된 친일진상규명법만 하더라도 그렇다. 이성과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조금만 차분히 살펴보아도 크고 작은 문제점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도 그냥 넘어갔다는 것이다. 법에 허점이 있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반(反)개혁으로 몰릴까봐 조심스러워 하는 분위기였다는 것이다. 지금 논의 중인 개정안도 마찬가지라고 하는데 이러고서야 어떻게 민주정당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참여정부’가 한낱 수사(修辭)로만 느껴진다.
의견의 다양성은 민주정당의 생명이다. 더는 “당내 갈등 유발 우려”라는 구태의연한 잣대를 들이대지 말아야 한다. 이들의 실사구시(實事求是) 노선이 당을 보다 균형 잡힌 책임정당으로 변모시키는 데 기여했으면 한다. 거듭 말하지만 민심(民心)은 공허한 개혁 담론이나 과거 파헤치기에 있지 않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