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관계자는 익명을 조건으로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교착 상태가 장기화하면 북한에 대한 접근법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 통신은 북한을 제외한 5개국 가운데 일부 국가 정부는 북한의 참석 여부와 관계없이 일정한 날짜에 회담을 소집해 북한의 고립 상태를 보여줌으로써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압박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국무부 관계자는 특히 미국의 대북 전략이 더 강경해질 것이냐는 질문에 "새해 들어 조지 W 부시 2기 행정부의 임기가 시작된 뒤 6자회담의 교착상태가 지속되거나 실패할 경우 현 상황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그는 더 이상의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덧붙였다.
미국이 북한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거론되는 방안에는 북한의 마약 무기 위조달러 등의 밀매에 대한 보다 공격적인 단속이 포함돼 있다.
로이터 통신의 보도와 관련, 워싱턴의 한반도 전문가는 "국무부 내에서 그런 의견이 나온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과 한국 정부가 반대할 경우 현실화하기 어렵다"면서 "현재로서는 북한에 대한 구두 압박의 하나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워싱턴=권순택특파원 maypole@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