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포위츠 부장관은 북한이 핵무기 보유와 6자회담 무기한 불참을 선언한 상황에서 비료를 제공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매우 진지하게 비료 제공 중단을 요청한 것으로 안다고 외교 소식통이 전했다.
딕 체니 미 부통령이 11일 반 장관과의 면담 때 “대북 보상 성격의 경협거래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말로 사실상 대북 비료 제공 중단을 요청한 데 이어 국방부의 대표적 강경파인 울포위츠 부장관도 거듭 같은 문제를 거론하고 나서 한국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울포위츠 부장관은 또 북한 핵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는 방안에 대한 한국 정부의 의견도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 장관은 한국 정부의 대북 지원은 인도적 차원이라고 설명하고, 안보리 회부에 대해서는 북핵 해결에 도움이 안 되고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면서 반대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 장관은 당초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과 울포위츠 부장관을 함께 만날 예정이었으나 럼즈펠드 장관이 백악관 회의 때문에 늦게 참석해 울포위츠 부장관과 주로 대화했다.
이에 대해 정부의 한 고위당국자는 “반 장관의 카운터파트는 울포위츠 부장관이 아니다”라며 “교장 선생님(카운터파트)을 만나러 학교(미국)에 갔는데 체육교사(울포위츠)의 말이 중요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말했다.
한편 정부 내에선 “하루아침에 인도적 차원의 (대북) 비료 지원을 전면 중단할 수는 없지 않느냐”는 분위기가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예년 수준인 20만 t의 비료를 북한에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권순택 특파원 maypole@donga.com
부형권 기자 bookum90@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