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朴槿惠) 대표를 비롯한 한나라당 지도부가 선뜻 행정도시법 처리에 합의함으로써 ‘야당성(野黨性)’을 포기했다는 비판론에서 출발한 이 주장은 아직은 담론 수준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정계재편의 발화점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직은 담론 수준”=대안 정당 논의는 현재로선 일부 강경 보수파 인사들이 “선명한 대여 비판 세력으로 새판을 짜야 한다”며 박 대표 체제의 한나라당을 성토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논의는 아직 공론화하지 못한 상태다. 분당 불가피론은 일부 강경파 의원들의 입에서 흘러나오고 있지만 당내 다수인 중도파 의원들은 분당론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7일 “행정도시법엔 분명히 반대한다”며 “그러나 박 대표와 뜻이 다르다고 새로 당을 만드는 것은 ‘적전(敵前) 분열’이므로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4일 행정도시법 반대파 의원들이 국회에서 비공개 모임을 가진 자리에서도 다수의 참석자들은 당이 갈라질 가능성을 우려했다는 후문이다.
이명박(李明博) 서울시장이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어떤 사람들은 한나라당에 이질적인 사람들이 모여 있어서 안 된다고 하는 데 나는 반대한다”라며 대안정당론을 일축한 것도 이 같은 당내 기류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불씨는 여전히…”=그럼에도 대안 정당 논의는 꺼지지 않은 불씨라는 게 당 내 중론이다. 언제든지 외부 변수와 맞물려 되살아날 수 있는 인화력을 갖고 있기 때문.
행정도시법 같은 강력한 갈등 요인이 변수가 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당 시스템 개편 문제도 마찬가지. 홍준표(洪準杓) 당 혁신위원장은 “당헌 당규 개정으로 당 대표의 위상이 바뀌면 7월 경 박 대표에 대해 재신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박 대표의 임기(2년)는 내년 7월까지다.
내년 지방선거 이후 이 시장과 손학규(孫鶴圭) 경기지사의 행보도 주목 대상. 이들이 박 대표 때문에 ‘당내 뿌리박기’가 어려워지면 ‘제3의 길’을 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연욱 기자 jyw11@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