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17대 총선 이후 존망의 기로에 빠져든 자민련이 심 지사가 지향하는 ‘충청 신당’의 일차적 영향권 안에 들어갔다. 자민련 현역 의원인 김낙성(金洛聖), 류근찬(柳根粲) 의원도 신당에 대해 우호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게다가 심 지사와 동반 탈당하는 전직 의원 및 유력인사들은 4월 재·보궐 선거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아 자민련으로서는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과거의 동지’들과 한판 사투를 벌여야 한다.
한나라당 역시 ‘충청 신당’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이원종(李元鐘) 충북지사나 한나라당 내 유일의 충청권 의원인 홍문표(洪文杓) 의원은 일단 탈당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이 지사의 한 측근은 이날 기자와 통화에서 “심 지사 등의 움직임은 이미 알고 있지만 정치적 행보를 같이 할 계획은 아직 없다”고 못 박았다.
하지만 내홍이 격화되고 있는 한나라당에 최소한 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충청권 탈환 전략을 고수하고 있는 박근혜(朴槿惠) 대표와 ‘수도권+영남’ 전략으로 맞서고 있는 이명박 서울시장 간의 전선(戰線)이 더욱 첨예해질 수 있고 양측의 갈등이 심화될 경우 ‘정계 빅뱅’의 또 다른 신호탄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심 지사와 염 시장의 향후 동행 여부도 관심사다. 염 시장은 “심 지사의 탈당과 나의 행보를 직접 연관시키지 말아 달라”고 밝혀 심 지사가 추진하는 신당과는 일정하게 선을 그을 것임을 시사했다. 염 시장은 탈당하더라도 2006년 지방선거까지 정치적 상황을 점검한 뒤 거취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의 탈당에 대해서는 “이미 행정도시법 국회 통과로 충청권이 얻을 것은 다 얻었는데 이제 와서 무슨 탈당이냐”는 비판도 적지 않다. 또 ‘충청 신당’의 장래에 대해 ‘자민련의 신장개업’에 불과할 것이라는 비관적 시각도 있다. 그러나 심 지사의 탈당과 신당창당은 2006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통령선거까지 이어질 정계재편의 동인(動因)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 |
윤영찬 기자 yyc11@donga.com
▼충남도지사 3選… 포스트JP 야망▼
날카로운 판단력과 업무 추진력 때문에 자민련 김종필 전 총재의 각별한 총애를 받았으며 ‘차세대 충청권 리더’로 꼽혀왔다.
선거 때마다 각 당의 러브콜을 받아왔으나 결국 자민련을 택해 충남도지사를 3선(選)했다. 2004년 17대 총선 때는 JP의 강력한 권유를 받고 지역구 출마를 검토했으나 마지막에 뜻을 접었다.
1966년 행정고시 4회에 합격해 40년 가까이 관료생활을 하면서 ‘행정의 달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무총리실 행정조정실장과 대통령행정수석비서관으로 일했으나 공무원 생활의 대부분을 중앙보다는 경기 의정부시장, 대전시장, 충남도지사 등 지방에서 근무하며 지방분권 전도사 역할을 해왔다. 1970년대 청와대 근무 시절에는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의 신수도건설 계획에 참여했다.
최호원 기자 bestiger@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