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시마네(島根) 현 의원 38명 가운데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제출에 찬성하지 않았던 3명 중 한 명인 고무로 히사아키(小室壽明·44·민주당) 의원은 이번 소동을 매우 안타까워했다. 고무로 의원은 현 의회 인근의 사무실로 찾아간 기자를 단독으로 만나 자신의 입장을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과 쌓아온 ‘신뢰의 다리’가 한꺼번에 무너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일제 식민지 지배를 당했던 한반도의 불행한 역사를 충분히 인식한 상태에서 한일 정부 간에 ‘다케시마’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조례안 가결을 하루 앞둔 15일. 시마네 현 마쓰에(松江) 시의 현 청사는 지난달 23일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 제출 때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경비가 강화됐다. 출입구는 물론 건물 내 복도 곳곳에도 경비원이 배치돼 일반인의 출입을 감시했다.
오후 3시경 현청 직원들이 갑자기 굳은 표정으로 청사 앞에 진을 쳤다.
“한국 시민단체 회원들이 항의하러 왔다.” 몇몇 일본 기자들이 수군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경북 울릉군 독도리의 초대 이장이기도 한 서울시의회 최재익(崔在翼) 의원 등 2명이 통역 1명과 함께 청사를 항의 방문한 것. 3명에 불과한 한국인 일행의 출현에 현청 직원들은 불안감과 경계 태세를 늦추지 않았다.
한 현 의원은 “솔직히 파문이 이렇게 커질 줄 몰랐다”면서 “그러나 불상사는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결의안 제출에 찬성한 이 의원은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일본 영토인 다케시마를 한국이 반세기간 불법 점거한 것을 방치해 온 중앙정부 때문에 일이 이렇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마쓰에(일본 시마네현)=조헌주 특파원 hanscho@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