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연세대, 이화여대 등 국내 주요 대학 교수 40명은 노무현(盧武鉉)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낙제점에 가까운 ‘D+’ 학점을 매겼다.
한나라당 이종구(李鍾九) 의원이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10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경제정책 전체의 학점 평균은 ‘C’ 학점(100점 만점 기준 51점)에 그쳤다.
10개 ‘과목’ 중 부동산경제학에 대한 평가가 D+로 가장 낮았고 경제원론과 화폐금융론, 국제경제론, 노동경제학, 산업조직론 등 나머지 9개는 C나 C+로 나왔다.
특히 부동산경제학 분야에서는 ‘너무 인위적인 정책이어서 성공하기 힘들 것’, ‘공급을 줄이면서 가격을 잡는다는 어이없는 발상’이라는 혹평이 쏟아졌다.
경제원론 과목에 대해 낮은 평가를 한 이유로는 ‘노력은 가상하나 테크닉이 부족함’, ‘시장경제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꼽았다. 분배론에 대해서는 ‘빈부격차에 대한 성찰보다는 편 가르기 인상이 강함’, 거시경제학은 ‘경기침체의 근본 원인을 모르고 있음’이라는 설명을 달았다.
이정은 기자 lightee@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