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이 문서는 일본 외무성 북동아시아과가 1962년 2월 19일 작성한 ‘한국인 이입 노무자 수에 관한 토의용 자료’로 신문지 절반 크기의 5장짜리 문서다.
당시 양국 전문위원들이 2월 13∼27일 군인, 군속, 노무자 수에 관한 협의를 벌였는데 이때 일본 측이 참고 자료로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이 서류에는 한국인 징용자 수에 관해 ‘1946년 6월 (연합군) 총사령부의 명령으로 수집한 17개 부현(府縣)의 13만7406명분 명부 확보’라고 기재돼 있다.
실제 한국인 징용자는 약 80만 명으로 훨씬 많았다는 것이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이어서 당시 상당수 기업이 징용 자료를 폐기 또는 은폐했을 가능성이 크다. 협의 당시 한국 측은 징용자 중 ‘사망 1만3000명, 부상 7000명’ 선으로 주장했었다.
하지만 일본 측 자료에는 사망 또는 질병, 가정 사정 등으로 귀환한 사람을 ‘총 4만6000명+α’로 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신문은 “이 숫자의 대부분이 사망자와 부상자라고 보면 한국 측이 주장한 것보다 많은 (사상자) 수를 일본 정부 측이 파악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도쿄=조헌주 특파원 hanscho@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