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계열 포함 독립운동가 214명 광복절 훈포장

  • 입력 2005년 8월 4일 03시 12분


코멘트
광복 60주년을 맞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는 고 현진건 선생의 딸 현화수 여사가 3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자택에서 현 선생의 사진을 보며 미소짓고 있다. 왼쪽은 현 선생의 외손자인 박동건 고려대 교수. 연합
광복 60주년을 맞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는 고 현진건 선생의 딸 현화수 여사가 3일 서울 마포구 서교동 자택에서 현 선생의 사진을 보며 미소짓고 있다. 왼쪽은 현 선생의 외손자인 박동건 고려대 교수. 연합
국가보훈처는 15일 광복절을 맞아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47명 등 일제강점기 항일 운동을 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 214명에게 서훈을 추서 또는 수여한다고 3일 밝혔다.

조선공산당 책임비서를 지낸 김철수(金철洙)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중 3번째 훈격인 독립장이, 미국의 여류작가 님 웨일스의 소설 ‘아리랑(Song of Ariran)’의 주인공 김산(金山·본명 장지락 張志樂) 선생에게는 4번째 훈격인 애국장이 각각 추서된다.

또 김철수 선생과 함께 6·10만세운동을 주도하고 러시아와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벌인 김단야(金丹冶·본명 김태연 金泰淵) 선생, 1930년대 초 모스크바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사회주의자 김한(金翰·1887∼1938) 선생 등에게는 독립장이 추서된다.

조선학생혁명당을 조직해 옥고를 치른 정헌태(鄭憲台·1902∼1940), 조선혁명군 제1연대장을 지낸 최윤구(崔允龜·1903∼1938) 사회주의에 입각해 항일 투쟁을 전개한 한위건(韓偉健·1896∼1937) 선생 등에게도 독립장이 추서된다.

사회주의 계열 외에 민족문학가 현진건(玄鎭健) 선생에게는 대통령 표창이 추서된다.

이와 함께 남편인 강무경(姜武景·1878∼1910) 선생과 함께 의병 활동에 참여한 최초의 여성의병 양방매(梁芳梅·1890∼1986) 선생과 부자(父子) 의병인 어윤석(魚允奭·1846∼1898) 어경선(魚敬善·1869∼1916) 선생, 제주 해녀로 해녀 항일운동을 벌인 부덕량(夫德良·1911∼1939) 선생 등은 건국포장을 받는다.

윤상호 기자 ysh1005@donga.com

▽김철수: 사회주의 항일운동 거목… 상하이파 결성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독립운동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 전북 부안 출신으로 1916년 신아동맹단(新亞同盟團)을 조직해 항일운동을 벌였다. 1920년 서울에서 사회혁명당에 가입해 활동했으며 이듬해 5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고려공산당 상하이파를 결성했다.

1925년 12월 조선공산당에 입당해 조직부장으로 활동하다 일제가 대대적 검거에 나서자 지하에서 제3차 조선공산당을 결성해 책임비서로 공산당 재건운동을 주도했다.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조선공산당이 해체되자 1929년 6월 중국으로 망명, 지린(吉林) 성에서 조선공산당 재건설준비위원회를 조직한 뒤 국내로 몰래 들어와 활동하다 체포돼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46년 여운형 선생과 함께 사회노동당을 창당했다.

▽현진건: 본보 사회부장으로 일장기 말소사건 주역

일제 통치가 극에 이르렀던 1936년 8월 동아일보 사회부장 재직 당시 손기정(孫基禎) 선수의 독일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 사진에서 일장기를 지우고 보도해 일제강점기 민족의식을 고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사건으로 선생은 일경에 체포돼 1년여에 걸쳐 옥고를 치렀고 동아일보는 무기 정간을 당했다. 선생은 또 1939년 동아일보에 역사소설 ‘흑치상지(黑齒常之)’를 연재,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노력했다.

1920년 ‘개벽’지에 단편소설 ‘희생화’를 발표해 등단한 선생은 이듬해 발표한 ‘빈처’로 세간의 주목을 받은 천재 소설가이기도 하다. 단편소설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을 통해 일제강점기 지식인과 하층민들의 암울한 삶을 생생히 그려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산:소설 ‘아리랑’ 실존모델… 中공산당 활동

본명 장지락(張志樂). 미국 여류소설가 님 웨일스의 저서 ‘아리랑’의 실제 주인공이다. 그동안 남한에서는 공산주의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북한에서는 연안파였다는 이유로 중국에서의 항일투쟁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국제 사회주의와의 연대가 조국 독립을 앞당길 것이라는 믿음으로 그는 192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이후 공산당 산하 중국청년동맹에서 활동했고 1924년 고려공산당 베이징지부 설립을 주도했다.

또 1926년 중국 광둥(廣東)에서 조선혁명청년동맹을 조직해 중앙위원과 의열단 중앙집행위원 및 선전부장으로 활동했다. 이후 중국 공산당을 떠나 1936년 조선민족해방동맹을 결성해 활동하면서 님 웨일스를 만났다.

▽김태연:박헌영과 함께 활동… 金丹冶가명 더 유명

박헌영과 함께 대표적인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로 본명은 김태연(金泰淵)이다.

경북 김천 출신으로 1915년 대구 계성학교에 재학 중 일제를 두둔한 미국인 교장에 반대해 동맹휴학을 벌이다 퇴학 당한 뒤 3·1운동에 적극 참가했다. 또 독립운동 군자금을 모금하다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1921년 중국으로 망명한 뒤 고려공산당 이르쿠츠크 파에 가입하면서 사회주의 운동에 나섰다. 1922년 공산당 조직 건설을 위해 국내로 잠입했다가 붙잡혀 1년 반 동안 옥고를 치렀고 1925년 조선공산당 창당에 적극 참여했다.

1926년 조선공산당이 붕괴되자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 6·10만세운동을 기획 지원했다.

▽건국훈장 독립장

(3급·6명)

金철洙(국내 항일) 金泰淵(국내 항일) 金 翰(중국방면)

鄭憲台(국내 항일) 崔允龜(만주방면) 韓偉健(중국방면)

▽건국훈장 애국장

(4급·25명)

林相永(의병)

張志樂(중국방면) 鄭雲海(국내 항일)

車在文(의병)

韓聖島(광복군)

韓永八(국내 항일)

洪大宇(3·1운동)

姜昌奎(국내 항일)

姜宅鎭(국내 항일)

金國敏(국내 항일)

金秉濬(3·1운동)

金雲仙(의병)

金種耉(중국방면)

朴相夏(미주방면)

朴龍泰(중국방면)

朴貞陽(국내 항일)

方聖默(3·1운동)

宋炳寀(학생운동)

申秉善(의병)

申運錫(의병)

申才弘(국내 항일)

申鉉大(만주노령)

梁烈默(의병)

元在龍(만주방면)

李起商(의병)

▽건국훈장 애족장

(5급·46명)

姜昌擧(국내 항일)

金季鎭(국내 항일)

金觀玉(국내 항일)

金斗和(국내 항일)

金鳳鎬(국내 항일)

金善生(국내 항일)

金成洙(국내 항일) 金淑壎(국내 항일)

金永采(의열투쟁)

金宗林(미주방면)

朴秉壽(국내 항일)

朴英圭(3·1운동)

朴賢燦(의병)

孫汶翼(국내 항일)

宋在弼(학생운동)

申鉉喆(3·1운동)

安成連(국내 항일) 吳貴龍(국내 항일)

吳秉允(국내 항일)

吳炳訓(의병)

吳倫煥(임시정부)

尹永碩(학생운동)

李瑾衡(국내 항일)

李基明(3·1운동)

李 覃(3·1운동)

李德宇(학생운동)

李道在(3·1운동)

李同介(국내 항일)

李明奉(3·1운동) 李相岩(국내 항일)

李世榮(의병)

李刹修(3·1운동)

任龍泰(국내 항일)

林俊哲(3·1운동) 曺文煥(국내 항일)

陳秉基(국내 항일)

蔡奎淵(국내 항일) 蔡載五(국내 항일) 崔金莖(국내 항일)

崔祐謙(국내 항일)

崔禹錫(3·1운동)

崔恩晳(국내 항일)

崔長富(3·1운동) 韓命錫(국내 항일) 洪大厚(의병)

黃運正(노령방면)

▽건국포장(60명)

李鍾基(국내 항일)

李鐵柱(학생운동)

李會源(국내 항일)

林魯福(의병)

張炳玉(국내 항일)

鄭聖基(국내 항일)

鄭淳學(의병)

趙容寬(국내 항일)

崔成玉(3·1운동)

韓東直(의병)

黃啓周(일본방면)

權重爀(국내 항일)

金甲坤(국내 항일)

金魯憲(의병)

金斗相(의병)

金斗星(3·1운동)

金秉文(국내 항일)

金福哲(의병)

金鳳性(3·1운동)

金永祥(국내 항일)

金溶圭(국내 항일)

金恩錫(일본방면)

金宙魯(국내 항일)

金洪奎(국내 항일)

金希坤(국내 항일)

盧炳旭(국내 항일)

朴奉吉(국내 항일)

朴英根(국내 항일)

朴正善(3·1운동)

朴周學(의병)

朴柱翰(국내 항일) 裵孝源(국내 항일) 卞仁圭(의병)

夫德良(국내 항일)

夫章煥(일본방면)

成周復(3·1운동)

沈灌之(의병)

沈能奎(의병)

沈宜鳳(의병)

沈宜植(의병)

安秉九(학생운동)

安秉斗(국내 항일)

安鶴淳(국내 항일)

梁東默(의병)

梁芳梅(의병)

梁相吉(의병)

梁壽默(의병)

梁昌默(의병)

梁台默(의병)

魚敬善(의병)

魚上善(국내 항일)

魚允奭(의병)

元容正(의병)

柳寧錫(의병)

尹億炳(국내 항일)

李圭海(의병)

李善求(의병)

李壽逸(국내 항일)

李承鶴(의병)

李安鎬(국내 항일)

▽대통령표창

(77명)

高圭柱(국내 항일)

郭在石(학생운동)

權相鶴(국내 항일)

權泰應(학생운동)

金加奉(3·1운동)

金基世(3·1운동)

金達坤(애국계몽)

金棟列(국내 항일)

金柄濟(3·1운동)

金思鳳(3·1운동)

金蘇用(3·1운동)

金時兌(국내 항일)

金用煥(국내 항일)

金崙求(3·1운동)

金載洛(3·1운동)

金貞培(3·1운동) 金顯基(3·1운동)

南光鎬(3·1운동)

南 璋(국내 항일)

盧千木(3·1운동)

馬善恒(국내 항일)

文明鎭(국내 항일)

朴奉云(3·1운동)

朴奉朝(3·1운동)

朴參容(3·1운동)

朴仁生(학생운동)

朴在永(3·1운동)

朴鍾南(3·1운동)

朴泓基(3·1운동)

方在矩(3·1운동)

裵長實(국내 항일)

裵鍾哲(국내 항일)

白仁烈(학생운동)

白鎭禹(학생운동)

成丑鏞(학생운동)

宋錫圭(3·1운동)

宋錫智(3·1운동)

申泰東(3·1운동)

沈載洵(일본방면)

兪永煥(3·1운동)

尹起遠(3·1운동)

尹東一(학생운동)

尹相殷(3·1운동)

尹榮夏(3·1운동)

李光憲(3·1운동)

李圭태(3·1운동)

李炳哲(국내 항일)

李瑞圭(3·1운동)

李雨相(3·1운동)

李仁春(3·1운동)

李一淳(3·1운동)

李柱宅(3·1운동)

李泰成(미주방면)

李鶴羽(국내 항일)

李孝鍾(국내 항일)

張出鳳(3·1운동)

張 烋(3·1운동)

張喜順(학생운동) 鄭國朝(3·1운동) 鄭輔漢(학생운동)

鄭學朝(학생운동) 鄭海鵬(학생운동) 趙圭明(의병)

趙璣燮(국내 항일)

曺永鎭(학생운동)

趙玉濟(학생운동)

趙台衍(국내 항일)

陳玉鍊(3·1운동)

秦者味(학생운동)

崔肅石(3·1운동)

崔鍾根(학생운동)

韓樂然(임시정부)

韓福龍(3·1운동)

韓七錫(학생운동)

咸鎬墉(미주방면)

玄鎭健(국내 항일)

黃魯元(3·1운동)

( )는 정부가 밝힌 공적 내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