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상은 평양에서 CNN과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증거를 제시할 수도 있다’는 김 부상의 발언은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9일 기자회견에 대한 반박으로 보인다.
부시 대통령은 회견에서 “북한은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에 대해 진실을 말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도 김 부상은 “이 문제에 대해 협상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 부상은 또 “핵문제가 해결되면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복귀할 것이며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기준을 완전히 준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김 부상은 이번 베이징(北京) 4차 6자회담에서 핵심쟁점이 됐던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문제에 대해서는 물러서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우리는 핵에너지의 평화적인 이용을 원하며 이는 우리가 직면한 긴박한 문제”라며 “우리 경제상황에 비춰볼 때 이는 매우 적절한 정책이고 이것이 우리가 이 분야에서 양보할 수 없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우리가 경수로를 가동해 핵무기를 제조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한다면 엄격한 감독 아래 둘 수도 있다”면서 “미국이 직접 (감독에) 참여할 수도 있고, 아니면 미국이 믿는 다른 나라가 해도 좋다”고 덧붙였다.
김 부상은 이어 부시 행정부의 최근 유화적인 어조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면서 “(휴회 중인) 4차 회담이 재개되면 진지하고 실용적인(business-like) 자세로 임할 것”이라고 강조해 주목된다.
“그러나 미국이 (우리의) 정권교체를 시도한다면 반드시 실패할 것”이라고 김 부상은 경고했다.
한편 CNN 창업주인 테드 터너 전 회장은 미 하원의 커트 웰던(공화당) 의원 등과 함께 13일 북한을 방문했다.
터너 전 회장은 북한 당국과 비무장지대(DMZ) 자연생태계 보전사업 추진방안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공종식 특파원 ko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