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북한과 미국은 최대 쟁점인 평화적 핵 이용권 문제와 관련해 기존의 강경한 입장을 회담장 밖에서 공개적으로 천명했다. 북-미 양자협의는 14일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13일 저녁 숙소인 중국대반점 앞에서 북한의 평화적 핵 이용 주장과 관련해 기자들에게 “그런 논의조차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힐 차관보는 “근본적인 의문은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포기할 준비가 돼 있느냐 여부”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오전에는 “북한이 숙제를 끝마쳤기를 기대한다”며 북한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이는 북한의 수석대표인 김계관(金桂寬) 외무성 부상이 이날 오전 베이징으로 출발하기 직전 평양 순안공항에서 중국 신화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강경한 입장을 밝힌 데 따른 맞대응으로 풀이된다.
김 부상은 “북한은 평화적 목적의 핵 활동을 할 권리가 있으며 이는 타인이 주는 것이 아니다”며 “경수로를 가져야 하고 이것이 핵문제 해결의 관건”이라고 주장했다.
북-미 양측의 강경한 입장이 회담 초기 기선잡기를 위한 협상용일 수도 있으나, 일단 회담의 전도가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분석이 많다.
다만 김 부상은 “필요한 시기에 유연함을 보일 것”이라고 말해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한편 한국은 이날 남북한 양자협의를 갖고 북한이 NPT 복귀와 IAEA의 안전의무 준수 등 조건을 충족하면 평화적 핵 이용권을 가질 수 있겠지만 이는 일반적 의미의 경수로를 장래에 가질 수 있다는 뜻이며 신포 경수로 건설은 재개할 수 없다는 방침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만 kW의 전력 제안이 신포 경수로 건설을 종료하는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은 알려지지 않았다.
베이징=윤종구 기자 jkmas@donga.com
이명건 기자 gun43@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