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농민 대표 측은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의 사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공개 사과와 허준영(許准榮) 경찰청장의 파면을 요구해 진통이 예상된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서울 여의도 농민시위에 참가한 농민 2명이 경찰의 과잉진압 논란 속에 잇따라 숨진 데 대해 이날 “매우 불행하고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대통령수석비서관 및 보좌관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번 일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책임소재를 밝혀야 하며 규명된 원인과 밝혀진 책임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김만수(金晩洙)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일단 전제는 철저한 원인 규명이고 그에 따른 책임은 그 후에 나올 수 있다”고 밝혀 경찰 수뇌부에 대한 인책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노 대통령은 또 정부 관계장관회의를 즉각 소집해 철저한 사후대책을 세우고 평화적인 집회와 시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적 문화적인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도 이날 “농민 시위에 참석한 뒤 치료를 받다가 사망한 홍덕표 씨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깊은 애도를 표하고 위로를 드린다”고 밝혔다고 이강진(李康珍) 총리공보수석비서관이 전했다.
허 청장은 이날 “부검 결과와 경찰의 자체 수사 및 감찰 내용, 국가인권위원회 조사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방침을 표명하겠다”면서 “적절한 시기에 전용철 씨와 홍 씨 상가에 조문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업의 근본적 회생과 고 홍덕표·전용철 농민살해 규탄 범국민대책위원회’는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와 경찰청 인근에서 잇달아 기자회견을 열어 노 대통령의 공개 사과와 허 청장의 파면을 요구했다.
이들은 또 “농민 원정 투쟁단이 홍콩에서 강제 연행돼 인권을 침해당했는데도 정부가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형준 기자 lovesong@donga.com
정원수 기자 needjung@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