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원은 이날 배포한 ‘2006년 지방선거 종합 매뉴얼’에서 △언론사업 △지역대중사업 △상층부사업을 내년 지방선거에 있어 공천에 영향을 미칠 핵심 요건으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언론사업은 중앙정치무대에서 후보자의 인지도를 급상승시킬 수 있으며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언론사업을 언론홍보사업과 기자관리사업으로 분류하고 “기자관리사업은 지역 행사들을 통해 친분 있는 기자 인맥을 중심으로 기자 풀(POOL)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언론홍보사업에 대해서는 “기자들에게 후보자 알리기, 공천 유력자 명단에 이름 올리기, 기삿거리 제공, 인터뷰, 기고 등을 통해 후보자를 알려 나가는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이어 “상층부사업은 당 지도부와 공천심사 위원에 대한 로비 작업 및 당내 유리한 여론을 형성해 줄 수 있는 지도층 인사 지지 세력을 만드는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특히 “공천사업을 조직적, 전략적으로 전개하기 위한 ‘선거기획단’은 반드시 구성해야 한다”며 “선거기획단은 후보자 핵심 참모조직(사조직)으로서 본선에서도 선거 전체를 지휘하고 책임질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물로 구성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이 의미하는 사조직은 선거법에서 금지한 산악회나 향우회 같은 것과는 거리가 있긴 하지만 ‘기자관리사업’ ‘지도부 로비’ 등과 함께 표현의 적절성 문제가 당 내부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올해 6월 한나라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가 4·30 국회의원 재선거 승리 배경과 관련해 사조직을 가동했다고 내부 보고서에서 밝혔을 때 열린우리당은 관련 의원 5명을 선거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고, 한나라당에선 연구소장단이 전원 사퇴하기도 했다.
연구원은 또 1992년 14대 대선 당시 김영삼(金泳三) 후보가 김대중(金大中) 후보의 용공 전력을 집요하게 공격한 사실을 성공한 선거 전략 사례로 소개한 뒤 “선거는 반드시 공격이 우선시돼야 하며 방어적 자세로는 결코 승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조용우 기자 woogij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