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육묘공장과 비닐온실 기공식에 참석하고 이앙기 250대를 전달하기 위해서 자재비 4억5000만 원은 이미 북한에 보냈고 이앙기 구입비 5억1800만 원도 확보해 놓았다.
방북단은 통일부의 교육까지 받았다. 중국을 거쳐 북한으로 들어가는 비행기표도 예매해 뒀다. 하지만 김 지사는 북한에 가지 못했다.
김 지사의 방북 계획은 지난달 24일 오후부터 차질이 생겼다. 북한의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가 남한 채널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서로돕기운동)을 통해 “도지사들을 포함한 경남도와 경기도 대표단의 방문 계획을 변경하는 것이 좋겠다”는 전문을 보내왔기 때문.
북한 측은 전문에서 “(방북단은) 도지사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은 중진으로 각각 10명 정도로 줄여 구성했으면 한다”고 했다.
경남도는 27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2월 15일 방북단 30명을 확정해 알려주었는데 갑자기 변경 통보가 오니 황당하기 짝이 없다”고 말했다.
이주영(李柱榮) 정무부지사와 서로돕기운동 관계자가 1월 북한을 방문해 김 지사를 포함해 30명이 3월 초 방북하기로 합의했는데 북한 측이 갑자기 딴소리를 한다는 것. 경남도 관계자는 “특별한 목적은 없었지만 재선을 노리는 김 지사로서는 내심 이번 행사를 호재(好材)로 생각하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전남도는 15일부터 사단법인 전남도민남북교류협의회가 평남 대동군을 찾아 비닐온실 착공식에 참석한다. 방북단장은 정무부지사.
서로돕기운동의 간부는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의 방북이 논란이 되자 북한이 입장을 바꾼 것 같다”며 “선거를 앞두고 방북을 원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방북단에 도지사가 끼고 안 끼고의 문제가 아니다. 가서 도움을 주겠다는데도 도움을 받는 쪽이 오히려 방문 대상자와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큰소리를 치는 것은 뭔가 잘못된 것이다.
‘인도적 지원’을 내세우지만, 사실은 ‘한건’ 해서 도지사나 도의 이미지를 높여 보려는 ‘정치적 목적’ 때문에 북한 측에 저자세가 되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일이다. <창원에서>
강정훈 사회부 manman@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