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전 총리가 3·1절 골프를 함께 친 유원기 회장의 영남제분은 지난해 6월 기관투자가들을 부산으로 대거 초청해 골프 접대를 했고, 이들 중 일부가 영남제분 주식을 매입함으로써 영남제분은 주가조작 의혹을 사고 있다. 이 회사는 자사주(自社株)를 사들였다가 주가가 오른 뒤 기관투자가들에게 넘겨 큰 이득을 취했고, 개인투자자들은 손해를 봤다.
한국교직원공제회가 코스닥기업인 영남제분에 거액을 투자한 경위를 놓고도 3·1절 골프 멤버들 간의 관계에 의혹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 전 총리 측은 유 회장에게서 2004년 4월 400만 원의 후원금을 받고도 선거관리위원회에는 유 회장의 아들이 기부한 것처럼 거짓 신고를 했다.
뇌물수수와 주가조작 등 범죄 관련 의혹은 검찰 수사에서 철저히 밝혀져야 한다. 물론 이 전 총리는 ‘들러리’에 불과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불법 정치자금 제공, 주가조작 혐의 등 적지 않은 문제가 이미 드러난 기업인과 짧지 않은 기간을 부적절하게 교제한 것만으로도 ‘유착 검색대’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전 총리의 퇴진은 ‘골프게이트’의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정경유착의 고리가 끊어졌다”는 노 대통령의 발언이 앞으로 진행될 수사의 범위를 좁히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기를 바란다. 이번 사안 말고도 노 대통령은 임기를 끝낼 때까지 정경유착의 싹이 자라고 뿌리가 내리지 않도록 늘 발밑부터 살피는 게 좋다. 그저 “대통령인 저부터 초과 권력을 깎아 냈다”는 말로 안심할 일은 아니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