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건교위 소속 의원들은 14개 상임위 중에서 의원 1인당 평균 고액 후원금 모금액(4803만 원), 상임위원 전원의 고액 후원금 모금 총액(12억4895만 원)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해 ‘물 좋은’ 상임위라는 사실이 구체적인 수치로 입증됐다.
소액 후원금까지 합친 상임위원 전원의 후원금 모금 총액에서도 건교위는 34억5881만 원으로 1위였다.
본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된 국회의원 후원금 모금 명세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0월 말 현재 건교위 소속 의원 26명에게 연간 120만 원 이상의 후원금을 낸 고액 후원자는 모두 386명이었다.
국회의원 후원회 자료에 기재된 이들 후원자의 직업과 나이, 주소를 추적한 결과 건설회사 대표 등 건교위의 직무와 직접 관련이 있는 고액 후원자는 97명(25.1%)으로 나타났다.
건설교통 분야가 아닌 기업체 인사는 70명(18.1%), 직업란에 ‘사업’ ‘자영업’ 등으로 적어내 직무 연관성을 알 수 없는 후원자가 156명(40.5%), 기업체 인사가 아닌 후원자는 63명(16.3%)이었다.
건교위원들에게 가장 많은 후원금을 낸 고액 후원자는 S택시 P 사장으로 여야 의원 5명에게 1700만 원을 냈다.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장인 P 사장은 2004년에도 건교위 소속 의원 7명에게 200만 원씩 총 1400만 원의 후원금을 냈다.
대형 운송업체인 D사는 L 대표이사를 비롯해 소속 임원 4명이 여야 의원 7명에게 200만∼300만 원씩 총 1700만 원의 후원금을 냈다. 임원들이 평소 친분이 있는 의원에게 자기 돈으로 후원금을 냈을 수도 있지만 회사 차원에서 ‘역할 분담’을 시킨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호남 지역에 기반을 둔 건설운수기업 K사의 L 사장은 열린우리당 김동철(金東喆·광주 광산) 주승용(朱昇鎔·전남 여수을) 의원, 민주당 이낙연(李洛淵·전남 함평 영광) 최인기(崔仁基·전남 나주-화순) 의원에게 각각 200만∼300만 원의 후원금을 냈다. 연고지 출신 의원들에게 치중된 것이 특징이다.
건설교통 관련 업체 인사에게서 가장 많은 고액 후원금을 받은 건교위원은 열린우리당 이호웅(李浩雄·인천 남동을) 의원으로 6350만 원을 모금했다. 다음으로는 한나라당 허태열(許泰烈) 의원이 3400만 원의 고액 후원금을 모금했다.
건교위원들이 모금한 고액 후원금은 소속 정당별로는 △열린우리당(11명) 5억6625억 원 △한나라당(13명) 5억4980만 원 △민주당(2명) 1억3290만 원이었다.
거론된 기업 측은 “회사 임원의 이름을 기재하는데 혹시라도 ‘청탁용’이라면 공개된 방법을 쓰겠느냐”고 말했다.
![]()
![]() |
하태원 기자 taewon_ha@donga.com
조인직 기자 cij1999@donga.com
김아연 정보검색사 aykim@donga.com
▼의외로 힘센 통외통委▼
2005년 국회 상임위원회별 고액 후원금 모금액은 국회의원들 사이에서 ‘물 좋은’ 상임위로 꼽히는 건설교통위, 정무위, 산업자원위가 각각 1, 4, 5위로 모두 상위권에 올랐다.
3개 상임위 소속 의원 1인당 평균 고액 후원금 모금 액수는 전체 국회의원의 고액 후원금 평균 모금액(3224만 원)을 웃돌거나 비슷했다.
정무위는 금융계를 관장하고 있고, 산업자원위는 중소기업까지 망라하는 기업 관련 입법을 맡고 있다.
통일외교통상위는 경제 관련 상임위가 아니면서도 의원 1인당 4336만 원의 고액 후원금을 모금해 건교위에 이어 14개 상임위 중 2위로 나타났다.
이는 통외통위에 3선 7명, 4선 2명, 5선 1명 등 중진 의원이 많기 때문. 10년 이상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유력 후원자를 많이 확보했다는 얘기다. 상임위 활동과 관계없이 소속 정당 내에서의 영향력을 보고 후원금을 내는 고액 후원자들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제 관련 상임위 중 재정경제위는 의원 1인당 고액 후원금(2841만 원)은 10위에 그쳤지만 소액 후원금까지 합친 1인당 모금총액(1억3423만 원)은 1위였다.
고액 후원금이 하위권인 법제사법위(2098만 원), 보건복지위(2268만 원), 환경노동위(2505만 원)는 ‘배고픈 상임위’라는 통설이 입증됐다.
민동용 기자 mindy@donga.com
▼40%가 ‘얼굴 감춘 후원’▼
국회 건설교통위원회 소속 위원들에게 고액(120만 원 이상)의 후원금을 낸 건설교통 관련 기업 대표와 임원의 상당수는 직업을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고 단순히 자영업, 기업인 등으로만 표기했다.
K사의 L 사장은 여야 의원 4명에게 200만∼300만 원씩을 기부하면서 그때마다 직업을 회사원, 회사대표, 사업, 자영업으로 달리 기재했다.
H건설 B 이사와 L건설 S 이사, D건설 C 대표는 회사원이라고 적었고, J고속버스회사 H 대표이사는 운송업과 자영업이라고 기재했다.
자신의 직업을 자영업이라고 적은 고액 후원자는 건교위 전체 후원자 386명의 18.9%인 73명이었으며 회사 이름 없이 회사원이라고만 쓴 사람은 69명, 사업은 53명, 기업인이라고만 쓴 사람은 18명이었다. 소속과 직책을 밝힌 사람은 30.6%(118명)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자신의 신분을 불성실하게 적는 것도 문제지만 아예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신고하는 사례도 있다”며 “이는 명백한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처벌 대상이지만 후원회나 선관위에서 이를 가려내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고액 후원자 중에는 ‘차명 기부’가 의심스러운 20, 30대 회사원이나 주부도 상당수 포함돼 있다.
취재 결과 한나라당 허천 의원에게 150만 원을 후원한 이모(24·여) 씨는 M건설 직원, 열린우리당 윤호중 의원에게 480만 원을 후원한 정모(34·여) 씨는 W건설 직원으로 각각 밝혀졌다.
장강명 기자 tesomio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