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과 경찰은 2일 합동으로 대추분교 강제철거 등을 위한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열었고, 주민들은 대추리에서 국방부 투입 저지 결의대회를 갖고 비상경계에 들어갔다.
지난달 30일부터 대화를 벌여온 국방부와 주민, 평택미군기지확장반대 범국민대책위(범대위) 측은 이날 각각 대화 중단을 선언했다.
국방부는 대화를 계속하겠다는 원칙을 밝히면서도 '7일 이전에 행정대집행에 나설 것임'을 확인했다. 반면 주민과 범대위 측은 '결사항전'을 결의, 조만간 양측의 대규모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미군기지 이전사업단 창설준비단장 박경서 육군소장은 이날 "그동안 주민보상 논의재개와 영농행위 중단, 행정대집행 중단 등을 주민 측에 제안했으나 답변이 없었다"며 "대화 진의가 없는 것으로 간주, 이미 예고한 대로 7일까지 행정대집행을 강행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책사업을 더 이상 범대위 등 일부 외부세력에 질질 끌려 다닐 수 없다"며 "행정대집행 때는 비무장 공병과 일부 보병을 경찰, 용역직원 등과 함께 투입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5월부터 지질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문화재 집계조사, 측량 등을 한미간 해야한다"면서 "이것을 하지 않으면 (공사가) 1년 이상 지연돼 국민 혈세에서 추가 비용을 충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범대위 측은 "국방부는 기만적 대화놀음과 폭력적 최후통첩을 거두고 다시 한번 진정한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며 "국방부가 대추분교와 농지 등에 대한 침탈을 강행한다면 결사항전의 자세로 맞서 싸울 것이다"고 밝혔다.
▽압박수위 높이는 군경=군과 경찰은 이날 경기지방경찰청에서 대추리 대추분교 강제철거와 이전 예정지 일대의 철책설치 등을 위한 관계기관 합동회의를 갖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군은 대추분교 철거와 동시에 길이 25km에 이르는 대추리 도두리 등 미군기지 이전 예정지 주변에 철조망을 설치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철조망 경비를 위해 보병을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군경 등은 군 병력 및 경찰력 투입일정과 방법, 규모 등 세부계획을 논의했으며 최대한 충돌을 피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며 "빠른 시일 안에 전격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주민들의 저항=경찰도 주민과 범대위의 자극을 피하기 위해 자제하던 사법처리도 엄격히 적용키로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찰은 이호성 범대위 상황실장과 김지태 팽성대책위원장, 강상원 평택대책위 집행위원장 등 3명에 대해 지난달 29일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영장을 발부받아, 체포에 나섰다. 또 범대위 공동대표인 문정현 신부에 대해서도 신병이 확보 되는대로 같은 혐의로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대추리 주민들과 범대위도 비상이 걸렸다.
범대위는 이날 대추분교에서 개최하려던 제4차 범국민대회 대신 즉시 집결이 가능한 주민과 범대위 소속단체 회원 150여 명이 '대추리사수결의대회'를 갖고 투쟁의지를 높였다.
범대위는 소속 회원들에게 대추분교로 모여줄 것을 비상연락망을 통해 전달했으며 대추분교에 머물며 언제 있을지 모를 국방부의 행정대집행에 대비하고 있다.
평택=남경현기자 bibulus@donga.com
박민혁기자 mhpark@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