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대선 신경전’…후보선출 시기싸고 각 진영 힘겨루기

  • 입력 2006년 6월 5일 03시 00분


5·31지방선거에서 전례 없는 압승을 거둔 한나라당은 대권 경쟁 국면에 접어든 듯한 분위기다.

다음 달 11일로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벌써부터 대선후보 선출 시기와 방법을 둘러싼 여러 주장이 쏟아지고 있는 것.

먼저 ‘대선일 6개월 전까지’로 돼 있는 대선후보 선출 시기 조정 문제가 이슈로 떠올라 있다.

당내 유력 대선주자 중 한 명인 이명박 서울시장이 SBS와의 인터뷰에서 “(후보 선출 시기가) 너무 빠르다”는 견해를 밝힌 게 논란을 촉발시킨 계기가 됐다. 그렇지만 당내에서는 이미 여러 의원들이 사석에서 대선후보 선출 시기를 미루자는 주장을 펴왔다.

대선후보를 일찍 정하면 여권의 네거티브 공세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는 것. 또 선거 막판에 극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후보 선출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 당내 서울시장 후보 경선에서 위력을 발휘한 ‘오세훈 효과’도 같은 맥락에서 종종 거론된다.

4일에는 심재철 의원이 서울 강서구 염창동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후보 선출 시기를 ‘대선일 120일이나 90일 전까지’로 늦추자고 주장했다. 그렇게 해놓고 내년 상황을 보아가며 현재처럼 6개월 전에 선출하든지, 아니면 최대한 늦추든지 전략적으로 판단하자는 것.

박근혜 대표 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고 손학규 경기지사 측은 “고민해 볼 사안”이라는 태도다.

대선후보 선출 시기가 지금 논란이 되는 이유는 이 조항이 당헌 당규에 규정돼 있고 당헌 당규는 전당대회를 통해 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와 함께 대선후보 선출 방법도 손질해야 한다는 의견이 일부 대선주자 진영에서 흘러나온다. 특히 손 지사 측은 선거인단 구성비율 중 여론조사 비율(20%)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대선후보 선출 시기와 방법은 각 진영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걸려 있는 민감한 사안이다. 따라서 각 진영 간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이를 둘러싼 논란은 잠복할 가능성도 있다.

당내에선 당헌 당규 개정은 원칙적으로 전당대회를 통해 할 수 있지만 당원들의 위임을 받은 전국위원회에서도 가능하므로 벌써부터 이 문제를 놓고 샅바싸움을 벌일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용관 기자 yongar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