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장관은 “국제사회가 북한 인권 상황을 우려하고 있는 데 주목한다”며 “북한이 인권문제를 놓고 국제사회와 대화를 나누며 기술적 제도적 협력을 제공받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반 장관은 또 “이 같은 대화와 협조 약속은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북한의 인권문제 개선에 분명한 진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유엔 인권위원회의 대북 인권결의안 표결 때 기권하는 등 북한 인권 문제가 국제이슈화 하는 것을 꺼려 왔으나 이번에 반 장관이 이를 공개 거론함으로써 대북 기조가 바뀌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반 장관은 이날 연설에서 “한국 정부는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우려를 국제사회와 충분히 공유하고 남북 장관급회담을 통해 북한에 충분히 전달해 왔다”고 설명했다.
유엔총회는 3월 인권위원회를 대신해 인권이사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한국 등 47개국이 유엔 인권이사회에 이사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명건 기자 gun43@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