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부시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문제를 ‘대화를 통한 외교적 방식’으로 해결하겠다는 원론적인 얘기만 나눴다.
부시 대통령이 미사일 문제의 해법을 놓고 한일 정상과 이처럼 상이한 합의를 한 배경은 뭘까.
부시 대통령이 한미 갈등을 피하기 위해 한국 정부의 해법에 원론적으로 동의했다는 시각이 한국 정부에는 많다. 노 대통령에게 대북 제재 방안을 요구해 봤자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당국자 선에서는 한국에도 대북 제재 동참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정부 당국자는 “7일 오후에 방한하는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통해 한국 정부에 대북 제재 방안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5일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통화하면서 “힐 차관보가 한국에 갈 텐데 북한에 강력한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명건 기자 gun43@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