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문회’ 형식으로 진행된 1일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도 불구하고 김 부총리가 사퇴를 거부하며 버티고 있는 데다 청와대와 국무총리실은 여론 동향을 주시하며 눈치 보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김 부총리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며 압박을 계속하고 있어 당-청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다.
전날 노무현 대통령과 한명숙 국무총리의 오찬 회동에 이어 한 총리, 열린우리당 김근태 의장 및 김한길 원내대표, 이병완 대통령비서실장의 심야 긴급회동 등을 통해 교육위에서 해명 기회를 주되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쏠렸던 흐름이 교육위를 거친 뒤 주춤해지는 양상이다.
특히 교육위가 끝나는 대로 1일 중 김 부총리에 대해 해임건의권까지 포함한 확실한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던 한 총리의 태도 변화가 눈에 띈다. 한 총리는 김 부총리가 국회에서 의원들의 공격에 대해 지지 않고 맞선 데 대해 다소 의외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총리실의 한 관계자는 “김 부총리에 대한 여론을 분석해 보니 생각보다는 좋게 나오고 있다”며 “교육위에서 김 부총리가 답변을 잘했다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도 “교육위는 진실에 접근하는 계기가 됐다”며 진실 규명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만 반복했다.
그러나 당과 정부 일각에서는 청와대와 총리실, 국정홍보처 등의 여론 분석이 전체 국민의 여론을 제대로 반영한 것이냐는 문제 제기가 나오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인터넷에 올라오는 누리꾼들의 반응을 놓고 전체 여론으로 판단하기에는 사실 무리가 있다”면서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교육위에서 대부분의 여야 의원이 새로운 의혹이나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이미 보도된 내용을 재탕하는 수준에 그친 점이 청와대와 총리실의 눈치 보기를 부채질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반면 김 부총리는 강하게 맞서 의혹을 상당 부분 해명했다는 것이 여권 핵심의 분위기다.
하지만 김 부총리의 사퇴를 강하게 압박해 온 열린우리당의 분위기는 한층 강경해지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이날 밤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김 부총리는 명예롭게 자신의 거취를 결정해 주기 바란다”며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명예회복과 부총리 직을 수행하는 것은 별개인 만큼 ‘정치적 책임’ 차원에서 김 부총리가 스스로 결단을 내리는 것이 최상의 해법이라는 것이다. 여기엔 거취 논란이 장기화되거나 방향이 바뀔 경우 사퇴 쪽으로 드라이브를 걸었던 당의 입지가 크게 약화될 것이란 우려가 작용하고 있다.
한편 한 총리가 이날 공언했던 입장 발표를 하지 못한 배경에는 교육위 이후의 여론 변화보다 전날 노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김 부총리 문제에 대한 조율을 제대로 하지 못한 상태에서 강경론을 말했다가 상황이 여의치 않자 물러서게 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즉, 한 총리는 교육위를 사퇴를 위한 수순 정도로 생각한 반면 청와대는 김 부총리의 해명이 이뤄질 가능성을 기대했던 것 아니냐는 얘기다. 실제로 교육위 이후 청와대가 해명이 이루어졌다는 쪽에 무게를 싣고 나오자 한 총리의 입장이 난처해졌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한 총리는 노 대통령에게 김 부총리의 자진사퇴 또는 경질을 건의하기 위해 여론수렴 과정을 거치고 있다는 게 총리실 관계자의 설명이다.
조수진 기자 jin0619@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