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유 전 차관의 경질 이유를 설명하지 않았다. 다만 한 관계자는 “다른 부처와 업무 협의 과정에서 문화부의 입장만 고수했다. 몇 차례 경고하며 개선을 요구했으나 말을 듣지 않아 노무현 대통령에게도 보고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문화부에서는 유 전 차관이 청와대와 여당의 ‘민원’을 거부해 밉보였다는 설이 돌고 있다. 기획관리실장 시절인 2004년 말 신문법 제정 때 문제점을 일일이 지적하며 개선을 요구하다 청와대, 열린우리당과 충돌했다. 그는 사석에서 “신문법은 제정하지 않았어야 할 법이었다”고 안타까워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차관은 최근 청와대의 ‘낙하산’ 인사와 해외홍보 기능 조정 요구를 거부해 청와대와 마찰을 빚었다는 얘기도 들린다. 현 정부 출범 때 대통령직인수위원으로 일했던 그가 청와대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 등 ‘코드 마찰’을 보이자 청와대는 최근 직접 복무감찰을 실시했으나 개인 비리는 찾아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부의 한 과장은 “유 전 차관은 다면평가에서 상위를 차지했지만 부당한 지시에 승복하지 않았다”면서 “청와대가 공직사회를 장악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손을 본 것 같다”고 말했다.정용관 기자 yongari@donga.com
김희경 기자 susann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