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저지른일 화해 어려워도 지난날 용서하고 협력해야”

  • 입력 2006년 8월 16일 03시 02분


노무현 대통령은 15일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 “가슴속에 남아 있는 분노와 증오의 감정도 이제는 넘어서야 한다”며 “지난날을 용서하고 화해와 협력의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1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지난날 북한이 저지른 전쟁과 납치 등으로 고통받은 사람들을 생각하면 북한에 대해 관용과 화해의 손을 내미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노 대통령의 ‘북한 용서’ 발언은 6·25전쟁과 납북자, 테러문제 등에 대한 북한의 책임 인정 및 사과가 이뤄지지 않은 데다 사회적 합의가 없는 상태에서 나온 것이어서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은 대북정책과 관련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최우선을 두고 상황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본은 과거와 같은 일을 반복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하게 증명해야 한다”며 “독도, 역사교과서, 야스쿠니신사 참배, 그리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질적 조치가 그것”이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에 대해 “나라의 주권을 바로 세우는 일이며 국군통수권에 관한 헌법정신에도 맞지 않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바로잡는 일”이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앞으로는 통합의 노선이 현실의 힘으로 나라를 이끌고 역사의 정통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최소한의 가치를 침해한 행위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반성하고 사과해야 하고 반면에 과거 역사의 과오에서 비롯된 정통성 시비나 자격 시비는 이제 역사의 평가로 돌리고 진정한 용서와 화해를 이루자”고 말했다.

한편 김국주 광복회 회장은 이날 기념사에서 노무현 대통령의 ‘북한 용서’ 주장과는 달리 “북한은 남북 상생과 평화 번영을 위한 우리의 노력을 외면한 채 무모한 미사일 도발로 동북아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북한을 비난했다.

그는 이어 “선배 세대들은 고도의 산업화와 민주화를 성취하는 자랑스러운 위업을 달성했지만 선진국 진입 문턱에서 허다한 장애와 갈등, 마찰 등 광복의 빛을 흐리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연욱 기자 jyw1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