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은 가지 않았지만”=정부 고위소식통은 30일 “현재까지 파악한 바로는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 증거는 없다”며 “김 위원장이 열차로 중국을 방문하려면 단둥(丹東)이나 신의주에 북한 보안요원들이 가 있어야 하고, 며칠 전에 선발대가 중국에 도착해 협의하는 작업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움직임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정부 소식통은 “김 위원장의 특별열차가 국경을 통과해 중국으로 들어갔다고 볼 몇 가지 징후가 있었다”고 말해 김 위원장이 현재 중국에 머물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중국은 현재 입을 꽉 다물고 있으며 김 위원장이 평양에 돌아간 뒤에야 방중 사실을 밝힐 것”이라고 덧붙였다. 1월에도 중국 정부는 한국 정부의 사실 확인 요청에 함구했고, 사후에야 방중 사실을 공표했다.
▽9월 방중이 유력한 이유=북한 사정에 정통한 한 외교소식통은 이날 “김정일의 9월 방중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며 3가지 이유를 들었다. 그가 제시한 이유는 △북-중관계의 복원 필요성 △미국의 대북 경제제재조치에 맞서기 위한 중국의 협력 구하기 △북-중 교역 감소와 수해, 계획경제 목표달성 저조 등 북한 경제 3중고를 극복하기 위한 중국의 도움 필요성 등이다.
특히 중국과의 혈맹관계 회복이 북한으로서는 절박한 대목이다.
북한은 7월 5일 미사일 발사를 중국에 사전통보하지 않은 데다 김 위원장은 같은 달 10일에 북한의 6자 회담 복귀를 설득하기 위해 방북한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의 면담 요청을 거절하면서 북중 관계가 악화됐다.
중국은 7월 16일 미국 일본 주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문에 찬성표를 던졌을 만큼 양국관계가 냉각됐다. 두 나라 관계가 중국의 6·25전쟁 참전 이후 최악의 상황이라는 평가다. 따라서 김 위원장이 직접 나서지 않고는 문제를 풀 수 없는 형편이다.
남성욱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김 위원장은 현재의 사태를 최고지도자 간 친밀감으로 풀려는 생각을 가질 것”이라며 “6자회담의 9·19 공동성명이 나온 지 1년이 되며 정권 창건 기념일(9월 9일)이 들어 있는 9월에 방중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 경제 상황도 김 위원장의 등을 떠밀 가능성이 있다. 통일부가 30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상반기 대(對)중국 수출액은 1억99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4.6%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
하태원 기자 taewon_ha@donga.com
이종훈 기자 taylor55@donga.com
이명건 기자 gun43@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