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외치더니 中엔 왜 말 못하나”

  • 입력 2006년 9월 7일 03시 01분


정부는 ‘동북공정’을 주도하고 있는 중국 국무원 산하 사회과학원의 변강사지 연구중심(변강연구센터)이 우리나라 고대사를 왜곡하는 것에 대해 외교적 대응과 학술적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이규형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역사 왜곡과 영토 주권에 대해서는 여타 사안과 연계하지 않고 단호하고 분명히 대처해 왔다”며 “중국도 예외는 아니며 외교적으로 대응할 부분은 분명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 사회과학원은 국책 연구기관으로 사립 단체와 다르고 연구원도 국가 공무원이지만 현 단계에서 연구 결과가 반드시 중국 정부의 입장과 일치한다고 규정하기는 어렵다”며 “결과물을 총괄 검토해 대응 수단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여야 정치권은 중국의 동북공정과 이에 대한 정부의 대응 소홀을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열린우리당은 중국 정부의 행태에 비난의 초점을 맞춘 반면 한나라당은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질타했다.

이날 열린우리당 김근태 의장은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역사 왜곡은 또 다른 형태의 침략 행위이며 역사 왜곡과 공동 번영은 양립할 수 없다”면서 “동북공정을 추진하는 중국이 일본의 과거사 왜곡을 비판하는 것은 이율배반”이라고 비판했다.

한나라당은 공식 논평을 통해 “동북공정은 총칼을 들이대지 않았을 뿐 전쟁 선포나 다름없다”고 규정했다.

전재희 정책위의장은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중국이 장기적이고 치밀하게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역사를 뿌리째 뒤흔들고 왜곡하고 있는데 정부는 이것이 중국 정부 차원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응할 때가 아니라고 한다”며 “소 잃고 나서 외양간 고치겠느냐”고 따졌다.

강재섭 대표는 “노무현 정부가 자주를 주장하는 정부인데 왜 중국에는 한마디도 못하느냐. 과거사 진상 규명에는 수천억 원을 낭비하면서 민족 역사 훼손에는 왜 대비하지 않느냐”고 다그쳤다.

윤종구 기자 jkmas@donga.com

문병기 기자 weapp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