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내에서는 여당의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확정 방침이 알려지면서 경선 흥행에 대한 위기감 고조와 함께 찬반 양론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오고 있고 이 과정에서 찬반 동료의원들 간의 상호 비난전까지 벌어지는 등 다소 어수선한 형국이다.
자칫 당이 여당발(發)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의 '유탄'을 맞고 내부 혼란이 가중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당내에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해 강재섭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와 보수성향의 의원들은 '부정적', 진보 성향의 소장파와 비주류 의원들은 '긍정적' 견해를 각각 피력하고 있다.
대선주자 '빅3'의 경우 당내 입지가 상대적으로 탄탄한 박근혜 전 대표쪽은 도입 반대에 가까운 반면,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손학규 전 경기지사 진영은 찬성 쪽으로 기울어 있다.
지도부와 소장파간, 그리고 대선주자 진영간 이해득실에 따라 입장이 갈릴 것이란 것은 충분히 예견돼왔으나, 문제는 논란의 발화시점이 예상보다 크게 앞당겨진데다 의원들 간의 논쟁이 연일 위험수위를 넘나든다는데 있다.
강 대표가 지난달 27일 당 중앙위 조찬강연에서 "여당이 선거법에도 어긋나는 오픈 프라이머리를 들고 나와 분탕질을 하고 있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힌 데 대해 소장파인 남경필 원희룡 의원이 즉각 "모든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고 받아치자 극보수 성향의 김용갑 의원은 이들 소장의원을 '된장 정치인'이라고 맹비난했다.
그러자 소장파 고진화 의원이 다시 김용갑 의원을 향해 "촛불이 꺼져갈 때 내는 파드득 소리로 들린다"며 "그런 과거회귀식의 모습은 우리의 한계를 노출하는 것"이라며 '확전'에 가담했다.
한마디로 찬반론자들이 '장군멍군'식의 설전을 계속하고 있는 셈이어서 외부충격에 내부 전열이 흩뜨러지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
논란이 계속되자 소장파 진수희 의원은 30일 당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강 대표의 부정적 의견 피력과 소장파 반발, 이에 대한 보수파 의원의 원색비난 등으로 오픈 프라이머리 논의는 더 이상 금기시 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며 당내 토론을 통한 공론화를 제안하고 나섰다.
그러나 김무성 의원은 "대놓고 반대하면 이상하게 엮일까봐 말을 못하겠다"면서도 "여당이 자기네 불리하니까 경선 제도를 바꾸겠다는 것인데 과연 우리 당 사람들이 이 제도의 부작용을 얼마나 잘 알고 도입 주장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뉴라이트(신보수)' 진영은 물론 범야권 인사들까지도 오픈 프라이머리에 대한 찬성입장을 보이고 있어 논란의 향방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나라당과의 연대를 추진 중인 뉴라이트 전국연합의 김진홍 상임의장이 일찌감치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 필요성을 제기한 데 이어 뉴라이트의 또 한 축인 뉴라이트 네트워크 소속 신지호 자유주의연대 대표도 찬성 입장을 보였다.
신 대표는 1일 "한나라당이 정말 기득권에 연연해 하지 않고 민의를 수렴하려는 자세를 보이려면 원론에 있어 그것을 반대하면 안된다"고 말했다.
범야권 인사인 이원종 전 청와대 정무수석도 최근 "국민을 도외시하고 당원들만의 선택에 의해 후보를 뽑는다면 상대가 있는 선거에서는 필패할 것"이라며 "만약 열린우리당이 국민이 참여하는 경선을 실시하고, 한나라당이 당원 중심의 경선을 하면 결국 열린우리당이 이길 것"이라고 한나라당의 선택을 압박했다.
이에 대해 핵심 당직자는 "여당이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하는 분위기이고 당 밖의 민심도 원칙적으로 그것에 동조하는 움직임이어서 우리가 무작정 도입 반대만 외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이 문제가 내분으로 치닫지 않도록 건전한 논의의 장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연합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