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갑 의원 발언에 국회 통외통위 파행 거듭

  • 입력 2006년 10월 26일 18시 08분


26일 통일부에 대한 국회 통외통위의 국정감사는 참여정부와 노무현 대통령의 대북정책에 대한 한나라당 김용갑 의원의 직설적인 비난 발언으로 오전부터 국감이 중단되는 등 파행에 파행을 그듭했다.

김 의원은 북한의 핵실험으로 참여정부의 대북정책은 "상식을 가진 보통 국민의 관점에서는 실패지만 이 정권을 포함한 친북좌파의 입장에서 보면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김 의원은 "(이는) 바로 이 정권의 대북정책 목표가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이 아니기 때문"이라며 "노무현 정권의 대북정책 목표는 김정일 정권 살리기를 통한 분단 고착화와 친북세력의 기반확대를 통한 체제 훼손, 한미동맹 파괴를 통한 대한민국의 외교적 고립을 통해 결국 북한이 주도하는 통일을 도와주었다는 것"이라고 공격했다.

그는 이어 "겉으로는 한반도 평화체제 유지니 공동번영이니 하는 허울 좋은 말로 국민에게 최면을 걸어놓고 실질적으로는 통일의 주도권을 김정일에게 넘기고 대한민국을 팔아먹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에 그치지 않고 북한 편들기에 가장 앞장 서는 사람은 노 대통령이라며 노 대통령이 철저하게 북한의 대변인 노릇을 자임하고 있고 김정일 추종사상과 반미의식을 퍼뜨리는 일에도 이 정권이 돕고 있다며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김 의원은 또 6월 6·15 민족대축전에 대해 "주체사상 선전 홍보물이 거리에 돌아다니고 교육현장에서 사상주입이 이뤄졌다"고 비판한 뒤 "행사가 벌어진 광주는 2박 3일간 완전히 해방구였다"고 표현했다.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발끈하며 앞다퉈 사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최성 의원은 "지긋지긋한 색깔론 적 공세는 중단돼야 한다. 국민에 대한 모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이화영 의원도 "대통령은 국민이 뽑은 국군통수권자인데 (김용갑 의원의 발언은) 국군통수권을 부인하고 체제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동채 의원은 "광주가 해방구라고 했는데 공산치하에 있었나. 공권력이 미치지 않았나"라며 광주시민에 사과할 것을 요구했고 임종석 의원도 "국민이 뽑은 현 정권을 두고 북한 주도의 통일을 지원했느니, 이런 모욕적인 발언 을어떻게 할 수 있냐"면서 정부를 부정하는 선동이라고 지적했다.

이화영 의원은 "거의 파시스트에 가까운 발언"이라고 반발했다.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김 의원의 사과가 없으면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고 버텼고 결국 논란이 시작된 지 40여분 만인 낮 12시12분경 국감이 중단됐다.

우여곡절 끝에 오후 2시30분부터 국감이 재개됐지만 논란은 거듭됐다.

김 의원은 회의가 속개됨과 동시에 "잠시 회의를 중단시킨 데 대해 유감"이라고 밝히면서도 "광주를 해방구라고 표현한 것은 선량한 광주시민과 전혀 관련이 없으며 친북 좌파세력이 광주를 어지럽힌 데 대한 지적"이라며 "이를 광주에 대한 모독으로 왜곡하고 지역감정으로 왜곡해 정치 쟁점화하려는 것에 유감"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의 다소 '뜨뜻미지근한' 유감 표명에 열린우리당 최재천 의원은 "그게 무슨 사과를 한 한 것이냐. 악의적으로 사건을 악화시키고 있다"며 과거 헌정 중단 사태까지 거론하며 "전두환, 노태우 정권 밑의 하수인들이 안보장사를 위해 (5·18 항쟁을) 좌익·친북좌파로 밀어붙이는 버릇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이 한때 시민단체에 의해 낙천·낙선의원이었던 사실까지 거론되고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진정한 사과를 거듭 촉구하자 김 의원은 "아니 이게 뭐하는 거야. 본질과 다르게… 나를 재판하는 거냐"며 반말을 섞어가며 격한 감정을 쏟아냈다.

김 의원은 이후 잠시 감정을 수습하고 "광주시민을 모독하려는 게 아니었다. 오해가 생겼다면 사과를 한다"고 말했지만 열린우리당 측에서 선거를 의식해 지역감정을 자극하려 한다는 문제제기가 나오자 그는 "그러면 모든 것(그동안 한 유감·사과발언)을 다 취소해 버리겠다"며 으름장을 놨다.

사태가 수습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김원웅 통외통위 위원장은 여야 간사를 불러 무엇인가를 숙의한 뒤 회의 재개 약 1시간만인 오후 3시30분경 또 다시 국감을 중단했다.

디지털뉴스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