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교수는 이날 서울대 관악캠퍼스 기숙사인 관악사가 ‘한반도 평화와 21세기 한국의 외교전략’을 주제로 마련한 특강에서 “대북 포용정책이 이념이 돼서는 곤란하며 북한 인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런 주장의 배경에는 외부에 대한 소원과 단절을 의미하는 ‘소극적 자주’에서 나아가 외국을 우리의 국익에 맞게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적극적 자주’의 관점이 깔려 있다고 윤 교수는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적극적 자주의 관점에서는 참여정부 이후 불었던 ‘탈미친중(脫美親中)’ 분위기는 세계정세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해서 나오는 얘기다. 경제 및 군사 규모로 볼 때 미국을 포기하고 중국을 선택한다는 것은 국제정치를 몰라도 너무 모르고 하는 소리다”라고 일침을 가했다.
그는 대북 포용정책이 한반도 평화에 상당 부분 기여한 것은 사실이지만 북한의 핵실험이란 상황을 맞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반성과 방향 정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2003년 북의 핵 보유는 용납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대외적으로 선언했으나 지금은 이 원칙이 무너진 상태인 만큼 기존의 대북 포용정책이 역할을 제대로 했는지 심각하게 고려하고 새로운 상황을 정립해야 한다는 것.
윤 교수는 “이런 원칙으로 포용정책을 추진할 때에야 비로소 서방세계도 (포용정책에) 동참하게 된다. 원칙과 기준 없이 무턱대고 지원하고 현금이 (북한에) 유입되도록 방조한다면 북한이 지원금을 미사일이나 핵을 개발하는 데 쓴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고 강조했다.
금강산 관광사업과 개성공단 진출 등에 대해 “긍정적 영향이 큰 것은 사실이지만 금강산 관광으로 현찰이 직접 북으로 유입되고 개성공단 노동자의 임금을 북한 정부에 직접 주는 것은 바꿔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핵 개발과 관련해서는 그는 “정부는 유엔 대북 제재 결의에 성실히 참여해 미국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음을 보여준 뒤 북한이 대화를 시작할 구실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미국을 설득해야 북한 주민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최우열 기자 dnsp@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