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교육부가 신문 구독을 학교 자율에 맡긴다고 했지만 일선 학교들이 어린이신문 구독을 재개하지 않은 이유는 교육부의 명확한 방침이 없기 때문"이라며 "어린이 신문을 자율적으로 구독해도 된다는 명확한 방침을 일선 학교에 공문으로 내려 보내야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우유, 급식, 현장학습, 특기적성 교육 등 대금수납을 모두 스쿨뱅킹으로 하는데 어린이신문만 이를 금지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따지고, "은행이 자동처리해주는 스쿨뱅킹을 이용해 신문 구독료를 내도록 학교에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모임은 이와 관련해 지난달 30일 성명을 내고 "서울 초등학교장의 96%가 어린이 신문이 교육적 효과가 있다고 대답한 만큼 교육부는 더 이상 어린이신문에 대해 부당한 규제나 간섭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신수정기자 crystal@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