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포로 가족 북송’ 짧은 사과 긴∼ 해명

  • 입력 2007년 1월 20일 03시 01분


강제북송 항의 외교부 진입 시도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 앞에서 국군포로가족연대, 시민단체 활빈단 등이 탈북 국군포로 가족이 북송된 사건과 관련해 항의서한을 전달하기 위해 담을 넘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강제북송 항의 외교부 진입 시도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 앞에서 국군포로가족연대, 시민단체 활빈단 등이 탈북 국군포로 가족이 북송된 사건과 관련해 항의서한을 전달하기 위해 담을 넘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노무현 대통령과 송민순(사진) 외교통상부 장관이 북한의 납치 및 국군포로 송환 문제와 관련한 발언으로 구설에 올랐다.

15일 필리핀 세부에서 열린 제2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노 대통령 등이 북한에 의한 납치문제를 의장성명에 넣는 것에 강하게 반발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복수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19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노 대통령이 당시 정상회의에서 “한반도의 역사는 길고 남북관계는 중요하다”고 밝히는 등 ‘간접적으로 의장성명에서 납치문제를 언급하는 것을 견제했다’고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정상회의는 에너지 문제를 다룬 것이어서 그런 의제는 아예 다뤄지지 않았다”며 “대통령이 그런 말을 했다는 것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송 장관도 구설에 올랐다.

이 신문은 12일 열린 정상회담 참가국 외교장관 오찬에서 송 장관이 “납치된 일본인은 수십 명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에는 수백 명이 있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해 일본의 자세에 의문을 표했다고 전했다.

송 장관은 또 19일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김형오 원내대표 등 한나라당 지도부와의 면담에서 국군포로 가족 9명이 중국 선양(瀋陽) 한국총영사관에서 알선한 민박집에 머물다 중국 공안에 붙잡혀 모두 북송된 사건에 대해 ‘외교부는 할 만큼 했다’는 취지의 해명으로 일관했다.

송 장관은 자리에 앉자마자 한나라당의 협조부터 구했다. 송 장관은 이어 “이 문제는 어느 한쪽으로 이렇다 저렇다 하기보다는 최대한 성의를 갖고 해결해야 한다”면서 “애착을 갖고 풀어야 할 문제”라고 사건의 성격을 먼저 규정하기도 했다.

송 장관의 해명이 이어졌다. “공개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도 있지만 상당 부분은 비공개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 “사건이 발생한 지난해 10월부터 물밑 접촉을 계속했고 비공개적으로 신속하게 귀국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중국에서 일어난 일이라 중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절차와 장치가 완벽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 “국군포로는 현재 67명이 귀국했는데 2003년 이후 38명이 돌아왔다. 정부는 정치권 못지않게 굉장한 노력을 쏟고 있다”.

해명에 비해 사과는 짧았다. 그것도 단서가 달려 있다. 송 장관은 “중국에서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중국과의 협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점이 있어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본인은 물론이고 그 가족들에게도 송구스럽다”고 덧붙였다.

비공개 면담에서 송 장관은 한나라당이 선양에 진상조사단을 보내기로 한 것에 대해 “공개적으로 진행할 경우 외교부 차원에서 협조하기가 어렵다”며 사실상 반대 의사를 밝혔다.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에서 “국민의 생명과 인권에 눈을 감고 범죄국가를 감싸는 반인권적 대통령과 수준 미달의 발언으로 국제적인 나라망신을 시키고 있는 외교장관의 망언을 국민과 함께 규탄한다”면서 노 대통령과 송 장관을 싸잡아 비판했다.

한편 외교부는 이날 보도 자료를 통해 “송 장관은 당시 외교장관 회의에서 ‘한국은 일본보다 더한 납북자 문제를 안고 있고 이를 매우 절실하게 다루고 있다’고 전제한 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적 방법으로 9·19 공동성명 이행을 촉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반박했다.

도쿄=서영아 특파원 sya@donga.com

문병기 기자 weapp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