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는 “노무현 정부 말기 및 남한의 대선 국면에도 불구하고 남북 정상회담을 통한 한반도 긴장 완화와 북핵 해결 과정에서 남북 관계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고 북한은 안정적인 대북(對北)지원을 위해 상징적 계기‘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상반기 장관급 회담 등 당국회담 활성화→6월 15일을 전후한 특사 교환→8·15 민족통일 대축전 시기 정상회담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어 보고서는 “정상회담이 어려울 경우 남북 총리회담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정세에 대해서는 “6자회담을 통해 대외 관계가 개선됐지만 이를 통한 외부자본의 유입과 같은 경제발전의 동력이 북한 경제에 전달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며 “2002년 7·1경제관리 개선 조치와 같은 새로운 경제정책을 제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태원 기자 taewon_h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