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전 시장은 경선 투표방식에 대해 “당심과 민심이 실질적으로 5 대 5가 반영되게 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박 전 대표 측은 “합의된 틀을 깨서는 안 된다”고 반발하고 있다.
▽경선 룰 논쟁 2라운드 돌입=당심과 민심을 ‘실질적으로’ 5 대 5로 반영해야 한다는 이 전 시장의 말은 무슨 뜻일까.
경선준비위원회는 지난달 격론 끝에 ‘8월 21일까지 20만 명의 선거인단으로 경선을 치른다’는 데 합의했다. 투표 참여 비율은 대의원 20%(4만 명), 당원 30%(6만 명), 국민 30%(6만 명), 여론조사 20%(4만 명)이다. 당심과 민심이 50% 대 50%인 셈.
그런데 이 전 시장은 “지금대로라면 (당심과 민심이 5 대 5가 아니라) 사실상 7 대 3으로 당심이 많이 반영된다”고 했다. 이 주장은 여론조사 반영 비율을 계산하는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이 전 시장 측은 전체 선거인단 20만 명 중 여론조사가 20%로 4만 명에 해당하니 4만 표로 계산하자는 얘기다. 4만 표를 대선주자의 여론조사 지지율에 따라 나누면 된다는 것.
그러나 박 전 대표 측은 “경준위에서 대선주자 대리인들이 현 당헌에 따라 여론조사 20% 반영 방식을 유지키로 하고 서명까지 해 합의했다”고 말한다. 당헌에 따른 계산 방식은 대의원, 당원, 국민의 투표율이 현실적으로 100%(16만 명)가 될 수 없는 만큼 여론조사도 3개 부문의 평균 투표율대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만약 경선에서 대의원 투표율이 60%(2만4000명), 당원 50%(3만 명), 국민 40%(2만4000명)일 경우 평균 투표율은 50%(7만8000명)가 된다. 이 50%를 여론조사 비율 20%(4만 명)에 적용하면 여론조사의 실제 반영률은 10%(2만 명)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결국 당심과 민심의 반영은 5만4000명 대 4만4000명이 된다.
하지만 박 전 대표 측은 그럴 경우 전체 경선투표에서 20%를 차지하게 돼 있는 여론조사가 30%를 차지하는 당원 또는 국민투표 결과보다 더 많이 반영되는 모순이 생긴다고 반박한다. ▽강재섭 대표, “내주 초까지 경선 룰 정할 것”=강 대표는 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늦어도 다음 주 초까지는 경선 룰을 결정하고 다음 주 중 전국위원회를 열어 경선 룰과 관련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통과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경선 룰 가운데 합의되지 않은 부분은 금주 내로 최고위원회서 논의해 해결하겠다”고 했다.
이 전 시장 측은 “서울시장 경선 때도 대선주자 경선 방식대로 당심 50%, 민심 50% 반영 방식을 적용했으나 당심과 민심의 실질적 반영비율이 7 대 3, 경북지사 경선 때는 8 대 2 였다”며 강 대표의 쇄신안에 민심 반영비율 확대 방안을 포함해 달라고 요청키로 했다.
이에 박 전 대표 측은 “이미 수개월간 논의를 거쳐 합의된 경선의 틀을 흔들면 당이 다시 분열될 수 있다”며 “이 전 시장 측의 주장은 명분도 없는 막무가내식 주장으로 당의 쇄신과 경선 룰이 무슨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박정훈 기자 sunshade@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