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7일 “정 전 의장 측이 언론플레이를 하는 것을 보니 (노 대통령과의 결별을 위한) 무슨 의도와 프로그램에 따라 청와대에 들어온 것 같다”고 비난했다. 정 전 의장은 “범여권 통합신당을 추진하기로 한 2·14 합의가 ‘위장합의’가 아니라면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맞섰다.
○ 청와대 “언론플레이 하다니 딴 뜻 있나”
노 대통령은 우선 ‘열린우리당 사수파’라는 지적에 대해 “지역구도 회귀엔 반대하는 것이 소신이며 당이 지도부를 중심으로 공론을 모아 질서 있는 통합을 추진한다면 어떠한 통합이든 지지한다”면서 “그러나 무원칙하고 무책임한 당의 해체나 와해에는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또 정 전 의장과 만났을 때 나온 열린우리당 복당 발언에 대해 “당이 와해되는 상황을 우려해 절박한 심경을 표현한 것일 뿐이다. 당이 정상적인 과정을 거치는 한 복당할 의사나 계획도 없다”고 부인했다. 천 대변인은 “설득하기 위해 나온 비유적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은 또 “‘대통령은 대선에는 관심이 없으며 져도 좋다는 생각을 한다는 악의적 모함이 유포되고 있다”며 정 전 의장을 의심하는 듯한 말도 했다.
정 전 의장이 남북관계와 관련해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방북 지원 △남북 정상회담의 개성 개최 △6자회담과 남북관계 병행 추진 등 3개 항을 요청한 데 대해서도 노 대통령은 “정 전 의장의 의견대로 이미 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남북 정상회담 장소 문제에 대해 “지금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것도 아닌데 장소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노 대통령은 또 정 전 의장이 ‘대통령이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무원칙하게 당을 해체하거나 와해시키려는 사람들, 대통령과의 차별화를 통해 반사 이익을 얻으려는 사람들이 ‘알리바이’를 위해 만들어 낸 것”이라고 밝혔다.
○ 정동영 “2·14합의 ‘위장’ 아니면 약속지켜라”
그는 열린우리당의 진로에 대해 “대통합 외에 길이 없다. 5월 말은 2·14 합의의 약속 시한”이라면서 “(통합이 안 되면) 약속에 따라 불가피하게 열린우리당은 ‘분화’할 것이다”고 말했다.
특히 노 대통령의 ‘복당’ 문제에 대해서는 “대통령은 현재 당적 이탈 상태다. 당원이 아닌데 당을 지켜야 한다거나 복당하겠다고 말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열린우리당의 틀을 고수하는 것은 시대 요구와 맞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정 전 의장 측은 복당 언급은 ‘비유’이자 ‘역설적 표현’이라는 청와대의 해명에 대해 “노 대통령은 회동에서 ‘그런 식의 통합 노래를 부르면 전국을 돌아다니며 당을 해체하면 안 된다고 할 것이다’며 복당 얘기를 꺼냈다”며 노 대통령이 진정 통합신당에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문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정 전 의장 측은 또 “노 대통령과 면담할 때 ‘대통령이 특정 후보를 지원하려는 게 아니냐’는 얘기를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정 전 의장은 노 대통령을 만나기에 앞서 DJ의 비서실장인 박지원 씨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전 의장은 박 실장의 얘기를 전하며 DJ의 방북을 지원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노 대통령은 냉담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연욱 기자 jyw11@donga.com
정용관 기자 yongari@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