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회견에서 '아직 언론이 기득권을 갖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지금 언론계와 정부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갈등과 대립이 아마 내가 가고 있는 그런 문제, 정책의 마지막 쟁점인 것 같다"며 "그 이외에는 대개 초과권력을 가지고 또 특별한 권리, 기득권을 주장하는 집단은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이 1일 전했다.
천 대변인은 노 대통령이 언급한 '내가 가고 있는 그런 문제, 정책'에 대해 "부당한 특권을 바로 바로 잡으려 하는 정책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동북아 정세와 관련, 노 대통령은 '아시아 지역에는 지금 군비경쟁이 가열되고 있는데 아시아 안보에 있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나 우려를 갖고 있느냐'는 질문에 "북핵문제가 해결되고 남북 간의 협력관계가 상당한 수준으로 꽤 진전되면 한국이 동북아시아의 평화의 안전판 노릇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또 나아가서는 협력과 통합의 어떤 구심체로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여지가 열려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그 일을 해보자고 국민에게 제안을 한 것이 제 취임사에서 제가 말한 동북아 시대라는 것"이라며 "그런데 아직 별 진전이 없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저는 경제의 중심이 된다고 해서 아시아가 세계 문명의 중심이 된다거나 세계 질서의 모범이 될 수 있다고 생각지 않는다"면서 "지금 유럽처럼 다자간 안보체제나 평화 공동체 같은 것을 만들어 평화를 정착시키고 그 위에서 상호 협력을 이루고, 나아가 통합을 지향하는 지역질서가 이뤄졌을 때 비로소 이 지역이 경제의 크기에 걸맞은 그런 문화적 수준에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노 대통령은 한반도 분단 상태 등 동북아의 불안정한 요소들을 거론한 뒤 "한편으로는 (한·중·일) 3국 간의 경제적 관계가 아주 긴밀해지기 때문에, 또 한쪽으로는 평화와 협력 관계자 긴밀해져 가고 있어서 다른 여러 가지 정치, 안보 질서가 결국은 경제적 관계를 뒷받침하는 쪽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기대도 아울러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디지털뉴스팀·연합뉴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