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표, 정수장학회 이사장 시절횡령·탈세 의혹"

  • 입력 2007년 6월 12일 15시 27분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정수장학회 이사장 재임시절 업무상 횡령, 탈세, 건강보험료 미납 등의 비리를 저질렀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부일장학회(정수장학회 전신) 설립자인 고(故) 김지태 씨의 차남 김영우(65·한생산업 회장) 씨는 12일 한나라당 염창동 당사에 설치된 대선후보 검증위원회를 방문, 이 같은 의혹을 담은 검증 요청서를 제출했다.

김 씨는 요청서에서 "박 전 대표는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98년 이후 정수장학회에 출근할 형편이 되지 않으면서 국회의원으로 세비를 꼬박꼬박 받고 정수장학회 상근 이사장 자격으로 연 2억5000만 원의 급여를 수령했다"면서 "업무상 횡령죄에 해당하지 않는지 검증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특히 한 언론사 기사를 인용, "99년 외환위기 상황에서 정수장학회가 구조조정 차원에서 직원상여금을 1100%에서 600%로 대폭 줄였으나 박 전 대표는 비상근직에서 상근직으로 바뀌면서 연봉이 1억3500만 원에서 2억5350만 원으로 늘었고 상근직임에도 사실상 출근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업무상 횡령죄는 공소시효가 7년"이라며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당이) 수사기관에 형사처벌을 의뢰해 달라"고 요구했다.

김씨는 또 "박 전 대표는 상근이사장 재임 1년 9개월 동안 건강보험료 1335만원을 내지 않은 사실도 확인됐다"며 "탈세 의혹도 있는 데 과연 이런 분이 서민의 아픔을 이해하고 법질서를 세우자는 주장을 할 자격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박 전 대표는 정수장학회 이사장직을 물러나면서 후임으로 유신시절 자신의 비서로 근무했던 최필립 씨를 지명했다"면서 "영남대, 육영재단과 관련해 사회적 물의를 빚은 최모 목사도 박 전 대표의 측근으로 최 씨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분들을 오랫동안 가까이 두고 있는 박 전 대표가 앞으로 측근 비리를 과감히 척결할 수 있을지 검증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씨는 검증요청서 제출 후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도 박 전 대표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지난달말 박 전 대표가 "공익법인이어서 사회에 환원했는데 또 환원하라는 것은 정치공세"라고 발언한 데 실망해 직접 조사에 나섰다고 밝히고 "짧은 기간 조사해보니 박 씨가 10년간 이사장을 하면서 사회사업을 한 것도 아니고 공적 재산에 기대어 호의호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박 전 대표가 전날 경선출마 회견에서 "아버지 시대 불행한 일로 희생과 고초를 겪은 분들에게 송구스럽고 미안하다"고 사과한 것과 관련해 "박 씨는 DJ(김대중 전 대통령) 선생님에게만 잘하면 되느냐"면서 "정치적으로 필요하고 자기를 끌어줄 분에게만 잘하고…"라고 비난했다.

그는 "인혁당 사건으로 12시간 내에 사형선고 받고 죽은 억울한 분들은 (나중에) 무죄가 됐는 데 그 분들한테 먼저 '애석하다'고 한 뒤 다른 쪽에 '정치적으로 활용하지 말라'고 하면 될텐 데 일언지하에 '정치공세 왜 하느냐'고 했더라"면서 "피해자의 입장에선 정치의 화신인지, 사람인지 구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 정수장학회 이사장인 최필립 씨에 대해서는 "(박 전 대표의) 이익을 대표하는 정도가 아니라 박 씨가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정수장학회 반환을 원하느냐, 박 전 대표의 대통령 당선을 막으려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지금도 장학회를 틀어잡고 주지 않는 데 대통령이 되면 내줄 리가 없다"고 대답했다.

김 씨는 지난 4일 모 언론대학원 동문 사이인 박 전 대표의 최측근 의원을 만나 이 같은 입장을 설명했으며 이 의원은 자신에게 검증 요청을 며칠 연기해줄 것을 부탁했다고 전했다.

디지털뉴스팀·연합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