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시도가 밝힌 공약 이행 상황 | ||||||
지역 | 보류 | 추진예정 | 타당성분석 | 진행 | 완료 | 계 |
서울 | 0 | 25 | 6 | 196 | 18 | 245 |
부산 | 0 | 0 | 4 | 95 | 1 | 100 |
대구 | 0 | 25 | 14 | 103 | 12 | 154 |
인천 | 0 | 0 | 0 | 105 | 45 | 150 |
광주 | 0 | 0 | 10 | 32 | 2 | 44 |
대전 | 0 | 0 | 0 | 70 | 8 | 78 |
울산 | 0 | 0 | 0 | 57 | 11 | 68 |
경기 | 1 | 0 | 1 | 72 | 2 | 76 |
강원 | 0 | 0 | 0 | 25 | 2 | 27 |
충북 | 0 | 3 | 0 | 84 | 6 | 93 |
충남 | 3 | 4 | 3 | 80 | 10 | 100 |
전북 | 0 | 0 | 5 | 75 | 5 | 85 |
전남 | 0 | 0 | 3 | 24 | 2 | 29 |
경북 | 0 | 4 | 10 | 97 | 14 | 125 |
경남 | 0 | 6 | 2 | 51 | 15 | 74 |
제주 | 0 | 0 | 0 | 196 | 13 | 209 |
총계 | 4 | 67 | 58 | 1362 | 166 | 1657 |
《16개 시도가 아직 본사업에 착수하지는 않았지만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힌 공약은 67개(4.0%), 취임 1년이 되도록 여론 수렴이나 타당성 분석 단계에 있다고 밝힌 공약은 58개(3.5%)로 집계됐다. 그러나 이들 125개 공약 중에는 사실상 추진을 포기했거나 언제 시행할지 알 수 없는 공약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
○실효성 없는 사업도 “타당성 분석 중”
서울시는 ‘교차로 등 공해가 심한 지역에 공기정화기 시범 설치 및 확대 운영’ 공약에 대해 현재 타당성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사업은 지난해 9월경 사실상 취소됐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등이 검토한 결과 남산 1호 터널 한 곳에만 몇 십억 원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등 비용에 비해 효과가 적다는 결론이 나왔기 때문이다.
광주시가 타당성 분석 중이라고 밝힌 ‘영산강 뱃길 복원’ 공약의 경우 아직 구체적인 실행계획조차 없다. 이 지역 환경단체들은 “뱃길 복원사업보다는 실질적인 수질개선 대안을 제시하라”며 사업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강원도는 춘천시 삼천동 일대에 컨벤션센터호텔, 사무실 상업시설, 고급 주거타워 기능을 갖춘 복합 다기능 국제컨벤션센터를 건립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으나 실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앙정부만 쳐다보는 사업들
일부 시도에서 추진하는 대형 건설사업 공약은 중앙정부의 지원만 기다리고 있는 처지다. 중앙정부가 반대하면 공약 이행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박준영 전남지사는 전남 여수와 경남 남해를 잇는 한려대교 건설을 공약으로 내걸고 정부에 국비사업을 요청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기획예산처는 “예비 타당성 조사 결과 광양대교 건설은 사업비가 많이 들고 경제성도 떨어진다”며 사업을 반려했다.
전북도는 ‘김제공항 건설’ 공약에 대해 타당성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감사원과 건설교통부 등이 김제공항의 항공 수요를 낮게 보고 있어 사업 시행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경북도의 ‘문화콘텐츠디지털센터 건립’ 공약은 중복투자 가능성이 있어 국비 확보가 어려운 상태이며, ‘전통문화디지털센터 건립’ 공약도 지난해 산업자원부 지역혁신기반사업에 선정되지 않으면서 사실상 추진이 보류됐다.
경남도가 추진 예정이라고 밝힌 ‘마산자유무역지역 리모델링 등 고도화단지 추진’ 공약은 정부 관련 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안으로, 현재로서는 언제 될지 장담할 수 없다. 도가 추진 예정이라고 밝힌 ‘외국인 근로자 종합복지센터 건립’ 공약 역시 현재까지 진행된 것은 중앙정부에 국비를 지원해 달라고 건의해 둔 정도다.
○추진 중인 사업도 서류작업 단계 많아
각 시도가 예산을 투입해 실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힌 공약들은 1362개(82.1%)로 집계됐다. 수치상으로는 대부분 공약이 이 단계에 이른 셈이다.
그러나 이들 사업 중에도 공사가 진행 중이라기보다는 아직 서류작업 단계에 있는 것이 많다.
인천시가 진행 중이라고 밝힌 ‘아쿠아리움 민간투자사업 추진’ 공약은 당초 선정된 민간사업자가 금융권 대출약정서를 제출하지 못해 사업이 무산됐다가 다른 사업자가 건립계획을 제출한 정도의 이행 단계에 있다.
부산시의 ‘남부권 신공항 건설’ 공약은 현재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해 항공 수요조사를 벌이는 수준이다.
한편 대부분의 시도가 실현 가능성이 낮은 공약 사업에 대해서도 ‘추진 예정’이라거나 ‘타당성 분석 중’이라고 자체 평가한 반면 충남도는 ‘한방바이오밸리 조성’ 등 공약 3개에 대해 ‘사업이 보류됐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한방바이오밸리 조성은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대구경북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면서 사업이 수포로 돌아갔다.
■시도지사들이 새로 내놓은 생색내기 사업들
경기 道와 관련없는 서울외곽고속도로 “연내 완공”
부산 APEC회담 기념 불꽃축제 3년간 33억 투입
광주 작년 열었던 노벨평화상회의 격년 개최 검토
김문수 경기지사는 28일 취임 1주년을 맞아 그동안의 성과와 앞으로의 추진 사업을 소개하면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북부 구간을 올해 안에 완공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사패산터널 공사가 늦어져 지난해 6월 부분 개통됐으며 연말에 개통될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진 것이다.
또 이 도로는 민간자본으로 건설되는 사업으로 경기지역을 지나가기만 할 뿐 경기도가 건설비용을 지원하지도 않았고 인허가를 내 줄 위치도 아니다. 결국 김 지사는 경기도와는 아무 관련이 없는 사업을 자신이 이뤄 낼 것처럼 언급한 셈.
이처럼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자신이 약속한 사업을 차분히 이행하기보다는 생색내기나 일회성 이벤트식 행사에 더 신경을 쓰는 사례가 적지 않다.
부산시가 2005년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념하기 위해 해마다 열기로 한 ‘부산불꽃축제’는 과시용 행사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2005년에는 60분짜리 행사에 15억5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했고 지난해에도 12억2000만 원이 들었다. 올해도 6억 원의 예산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그러나 일부 시민은 시에서 내세우고 있는 ‘APEC 성공 축하’나 ‘인근 상권 활성화’ 등의 명분에 비해 알맹이도 없고 도심 전체가 극심한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것을 감안할 때 실효성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해 6월 15∼17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역대 노벨 평화상 수상자들을 초청해 ‘노벨 평화상 광주정상회의’를 김대중도서관과 공동으로 열었다.
이 행사에는 지방도시에서 열린 국제행사로는 드물게 김대중 전 대통령과 옛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대통령을 비롯해 메어리드 코리건매과이어(영국), 시린 에바디(이란), 왕가리 마타이(케냐) 씨 등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과 국내외 저명인사들이 참석했다.
하지만 시민들의 호응은 그리 높지 않다. 노벨 평화상 정상회의를 이탈리아 로마와 광주에서 격년으로 여는 것도 검토 중이지만 시민들 사이에서는 이 같은 대규모 국제행사를 정례적으로 열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공감대가 먼저 형성돼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특별취재팀
▽사회부
최창순 기자 cschoi@donga.com
김광오 기자 kokim@donga.com
김 권 기자 goqud@donga.com
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이기진 기자 doyoce@donga.com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
정용균 기자 cavatina@donga.com
이현두 기자 ruchi@donga.com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
남경현 기자 bibulus@donga.com
이권효 기자 boriam@donga.com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장기우 기자 straw825@donga.com
이 설 기자 snow@donga.com
▽정치부
장강명 기자 tesomiom@donga.com
김기용 기자 kky@donga.com
댓글 0